전체 탐색

로마서 2장 6-11절에 나타난 영생
케리그마와 공동체: R. W. L. 모벌리의 불트만 재고에 대한 응답
루가-사도행전 신학의 태동: 신적 활동과 인간 응답
그분 안에서 충만해진 당신: 신화 그리고 골로새서 2-3장
아버지의 영광 안에서: 상호텍스트성과 마가복음의 종말론적 인자
신앙의 규범: 그 기원을 추적함
"구속-취득": 룻의 결혼, 야훼와 야훼의 백성에 대한 신학적 주해
"현존하며 겸양된": 칼뱅의 시내산 하나님
신앙 규범의 주변부에서: 문제적 텍스트와 주제들의 수용사에 대한 고찰
교부들을 활용하기
성서 신학에 대한 도전으로서의 수용사
누가복음 10:22에 나타난 '요한적 벼락': 누가의 서사적 전개에 대한 고찰
융합점 해석학: 신앙 규범으로서의 쉐마에 비추어 본 사울의 버림받음에 대한 신학적 해석
신학적 해석과 성경의 영적 의미: 앙리 드 뤼박의 그리스도론적 현존 해석학 복원
효과적 역사와 지혜로운 해석자의 함양
조나단 에드워즈, 바울, 그리고 거룩의 우선성: 변이 독해
교부들의 발자취를 따라: 시편 107편에서 이사야, 요나, 마태복음 8장 23-27절에 이르는 상호텍스트적 경로
선택의 비분열적 차이: 로마서 9-11장 해석
그리스도인들은 소예언서의 어떤 역본을 읽어야 하는가?: 칠십인역 소예언서 독해에 대한 변론
다니엘 3장의 초기 '수용사': 대표적 사례들
원죄와 존재의 추문적인 본질에 관하여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 교양론』에 기반을 둔 교회적 위치의 성경 해석
키프리아누스의 'De opere et eleemosynis'에 나타난 인물론적 강해
신앙 공동체에 미치는 탄식 상실의 대가: 브루그만, 교회론, 기도의 사회적 청중에 대한 고찰
난해한 인용에 대한 고찰: 고린도후서 9장 9절에 나타난 바울의 시편 112편 9절 사용
셋째 하늘로 부름받음: 동방 정교회 전례 전통 속 고린도후서 11장 21절–12장 9절
목자의 음성을 들음: 선한 목자 담론의 파로이미아, 아우구스티누스의 비유적 독해
한 문장에 담긴 구원: 마가복음 15:39를 통해 본 마가적 구원론
3세기 요한복음 10장 30절 해석: 반단일신론 논쟁과 문법적 해석 기법의 부상
요한계시록과 "미시오 데이i": 계시록의 선교적 독해를 향하여
이스라엘로서의 교회와 교회로서의 이스라엘: 칼 바르트의 『로마서』와 『교회 교의학』 II/2에 나타난 로마서 9장 1-5절 주석 고찰
신학적 해석, 전제들, 그리고 교회의 역할: 불트만과 아우구스티누스 재고
아브라함과 종교개혁: 로마서 4장과 아퀴나스와 칼뱅의 신학적 해석
여인들은 무엇을 두려워했던가? (막 16:8)
이사야 예언에 나타난 들짐승들: 통치권의 상실과 새로운 인류로서의 이스라엘을 통한 그 회복
기독교 및 유대교 해석에 나타난 바로의 마음의 완고해짐
현재 시제적 계시: 예수 그리스도의 선지자적 직분에 비추어 본 신학적 해석의 재고찰
엘리야와 엘리사는 무엇을 했을까?: 누가복음에 나타난 예수 이야기의 상호 서사성
성경을 기호 체계로: 신학적 해석과 성경의 다중적 의미
폴 리쾨르와 신학적 해석에 있어서 텍스트 가설
신학적 해석을 위한 '역사' 재고
선형적이고 참여적인 역사: 아우구스티누스의 '하나님의 도성'
로마서: 신화(테오시스)에 관한 최초의 기독교 논문
역사적 리바이어던 탐구: 성서학의 진리와 방법
신, 그리스 철학, 그리고 성경: 매튜 레버링에 대한 응답
성령, 교회, 부활: 로마서 읽기의 해석학적 렌즈로서의 니케아 신조의 제3조
성경과 교회: 대안 비유를 위한 개요
성경화된 말씀: 성육신하신 말씀의 지속적 언어로서의 제4복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