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부들에게 있어서 시편의 분열과 통일성

The Disunity and Unity of the Psalter in the Fathers

https://doi.org/10.2307/26373986

오리게네스, 유세비우스, 디디무스, 디오도로스, 닛사의 그레고리우스 등은 시편을 해석한 다른 기독교 해석자들과 함께 시편을 신학적 통일체로 이해하는 전통에 속한다. 시편의 통일성에 대한 이러한 주장들은 시편의 불통일성과 씨름하는 과정에서 생겨난다. 시편의 불통일성은 많은 경우 해결해야 할 문제로 보인다. 모든 이가 이러한 통일성의 메커니즘에 대해 유사한 결론에 이르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적 계시로서 시편의 일관성은 늦어도 닛사의 그레고리우스가 『시편 제목에 관하여』를 저술할 무렵에는 명확히 확립된다. 더욱이, 시편의 이러한 통일성은 문학적 통일성에 대한 헬레니즘적(대부분 신플라톤주의적) 이해로부터 단순히 계승된 것이 아니라 주로 기독교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Origen, Eusebius, Didymus, Diodore, and Gregory of Nyssa—among other Christian interpreters of the psalms—stand in a tradition of envisioning the Psalter as a theological unity. These claims to the unity of the book of Psalms come about through struggling with its disunity, which appears in many cases to be a problem that needs solving. Not all come to similar conclusions as to the mechanism of this unity. Still, its coherence as divine revelation is clearly established at the latest by the time of Gregory of Nyssa's writing of his In inscriptiones Psalmorum. Further, this unity of the Psalter is conceived of as primarily Christian, rather than simply something inherited from Hellenic (mostly Neoplatonic) understandings of literary unity.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