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874
본고는 현재 제시된 마태의 신학적 문법에 대한 설명보다 더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복음서에 나타난 두 가지 언어 패턴을 면밀히 검토한다. 즉, 마태가 '경배하다/경의를 표하다'(προσκνέω)라는 단어를 문학적으로 정교하게 사용하는 방식과 이 단어가 하나님의 아들로서 예수의 정체성과 맺는 관계가 그것이다. 나는 마태복음의 προσκνέω 언어 패턴이 이스라엘의 하나님과 예수 모두에게 적용되면서 '비문법성'(리파테르의 개념)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독자에게 서사가 이 긴장을 어떻게 일관성 있게 담아내는지 발견하기 위해 두 번째 또는 '해석학적' 독해를 요구한다. 나는 마태가 하나님에 대한 정체성을 아버지-아들 관계를 중심으로 재정의한다고 본다.
This article attempts to provide a more coherent account of Matthew's theological grammar than is currently on offer by closely examining two linguistic patterns in the Gospel: Matthew's literarily sophisticated use of the word "worship/pay homage" (προσκνέω) and its relation to Jesus' identity as Son of God. I argue that the pattern of Matthew's προσκνέω language vis-à-vis Israel's God and Jesus creates an "ungrammaticality" (à la Riffaterre) that requires of the reader a second or "hermeneutic" reading to discover how the narrative coherently holds this tension together. Matthew, I contend, rearticulates the identity of God around the Father-Son 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