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과 교회, 불트만과 아우구스티누스: 다윗 콩던에 대한 응답

Bible and Church, Bultmann and Augustine: A Response to David Congdon

https://doi.org/10.2307/26373872

여기서 나의 2012년 불트만과 아우구스티누스에 관한 에세이에 대한 콩던의 2014년 답변에 응답한다. 콩던이 불트만의 신학과 교회론을 그 자체의 관점에서 유용하게 설명하지만, 그는 이를 성서 해석, 교회론, 그리고 지식의 사회적 본성 간의 관계 문제와 충분히 연결시키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이 관계 문제는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잘 설명되었다고 본다. 불트만이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는 칭의(justification by faith alone)를 인식론에 적용한 것을 비판한다. 이는 교회론의 가능한 인식론적 중요성에 대한 그의 주저함의 밑바탕에 있는 듯하다. 그리고 불트만의 신학적 해석 프로그램이 비록 지속적인 깊이와 도전을 지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신학적 해석을 위한 자원으로서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제안한다.

I respond here to Congdon's 2014 response to my 2012 essay on Bultmann and Augustine. I argue that although Congdon offers a useful account of Bultmann's theology and ecclesiology on its own terms, he does not sufficiently relate this to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iblical interpretation, ecclesiology, and the social nature of knowledge, which I find to be well articulated by Augustine. I critique Bultmann's application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to epistemology, which seems to underlie his reticence about the possible epistemological significance of ecclesiology. And I suggest that Bultmann's program for theological interpretation, although it has enduring depth and challenge, is nonetheless significantly limited as a resource for contemporary theological interpretation.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