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914
아우구스티누스의 시편 41[42]편 해설은 사슴이 하나님을 보고자 하는 '거룩한 갈망'에 대한 탐구이다. 『시편 해설 41』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영혼이 하나님을 볼 수 있도록 훈련하기 위해 일련의 영적 훈련—재활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따라서 시편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적 해석은 아나고기적 영성을 발전시키며, 이는 입문자가 하나님에 대한 비전에 적응하도록 한다. 주교는 이 훈련 체계를 통해 회중을 인도하여 그들의 내면의 시야를 날카롭게 하고, 그리하여 하나님을 보고자 하는 갈망이 성취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시편 해설 41』은 신음하는 시편으로 남는다—훈련이 끝난 후에도 영혼은 여전히 하나님을 볼 수 없다. 비록 하나님은 보이지 않지만, 아우구스티누스는 시편이 희망을 제시한다고 말한다. 곧 이생에서 교회적으로 중재된, 성례전적인 하나님 비전이 존재하며, 이는 종말론적 하나님 비전을 예견하고 참으로 그 비전에 참여하는 비전이라는 것이다.
Augustine's exposition of Ps 41[42] is an exploration of the deer's "holy longing" to see God. I suggest that in Enarrat. Ps. 41 Augustine proposes a series of spiritual exercises—a program of rehabilitation—in order to train the soul to see God. Thus, Augustine's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psalm develops an anagogical spirituality, acclimatizing the inductee to the vision of God. The bishop guides his congregants through this training regimen to sharpen their inner vision so that their longing to see God may be fulfilled. But Enarrat. Ps. 41 remains a psalm of groaning—at the conclusion of the exercises the soul still cannot see God. Although God remains unseen, Augustine suggests the psalm holds out hope: an ecclesially mediated, sacramental vision of God obtains in this life; it is a vision that anticipates, and, indeed, participates in the eschatological vision of G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