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915
풍부한 해석의 역사 속 여러 다른 흐름 외에도, 불타는 용광로 속 세 젊은이(다니엘 3장) 일화는 초기 기독교인들에게 신현(神現)(더 정확히 말하면, 장차 성육신할 로고스의 현현, 즉 "그리스도 현현")으로, 성육신의 신비에 대한 예표로, 그리고 특히 "삼위일체와 수가 같은 세 젊은이"에 대한 비잔틴 찬송가에서는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암시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학술적 개념들은 이러한 각 경우에 관련된 다양한 유형의 주석을 적절히 구별하는 데 실패하며, 구약의 신현에 대한 가장 초기이자 가장 지속적인 기독교 주석의 중요성을 모호하게 한다.
Aside from other strands in its rich history of interpretation, the episode of the three youths in the fiery furnace (Dan 3) was interpreted by early Christians as a theophany (or rather, more specifically, a manifestation of the Logos-to-be-incarnate, a "Christophany"), as a foreshadowing of the mystery of the incarnation, and, especially in Byzantine hymns about "the three youths equal in number to the Trinity," as an allusion to the Trinitarian God. The current scholarly concepts, however, fail to distinguish properly between the various types of exegesis involved in each of these cases and obscure the importance of the earliest and most enduring Christian exegesis of OT theophan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