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898
본 논문은 이사야 65장을 정경-농경적 관점에서 다룬다. 이는 해당 장이 성경 전체 책 내에서 갖는 문학적 위치와 오늘날 생태학적으로 염려하는 '먹는 자들'에게 주는 잠재적 가치를 모두 고려한다는 의미이다.음식 생산과 소비에 관련된 언어를 통해, 65장은 책의 앞부분에서 발견되는 굶주림과 포만감의 유형론을 상호 의존적인 신학적, 생태학적, 인류학적 관점에서 확장한다.본 논문은 이 세 가지 특성을 환원 불가능하게 복합적인 것으로 취급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지구 성경 프로젝트(Earth Bible project)의 특징인 생태학적 해석학과 다르다. 해당 프로젝트는 텍스트의 인간 중심주의에 반하여 텍스트의 생태학적 중요성을 분리하고, 동일시하며, 되찾으려 한다.이러한 접근 방식은 지구에 대한 인간의 행동을 더 잘 안내하는 텍스트 기반 결론을 거의 도출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인간의 이익이 텍스트 해석에서 편향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이다.대조적으로, 본 논문은 세 가지 실용적인 제안으로 결론을 맺는다. 각 제안은 음식에 대한 해당 장의 복합적인 관심의 다른 측면에 연결된다.성경적 신뢰의 해석학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인류의 증대하는 생태학적 문제에 대처하고자 하는 현대 독자는 본 논문이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essay addresses Isa 65 from a canonical-agrarian perspective, that is, with an eye for both the chapter's literary situation within the greater biblical book and its potential value for ecologically concerned "eaters" in the present day. Through language dealing with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chap. 65 extends a typology of hunger and satiety found earlier in the book in terms that are interdependently theological, ecological, and anthropological. This essay treats these three characteristics as irreducibly complex, an approach that differs from the ecological hermeneutic characteristic of the Earth Bible project, which seeks to isolate, identify with, and retrieve the text's ecological importance over against its anthropocentrism. This sort of approach tends to produce few text-based conclusions that better inform human behavior with respect to planet earth, precisely because human interests are prejudicially excised from the text's interpretation. By contrast, this essay concludes with three such practical proposals, each of which is tethered to a different aspect of the chapter's complex interest in food. The contemporary reader who would maintain a biblical hermeneutic of trust while also seeking to address humanity's growing ecological challenges may find this essay a valuable re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