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자 같은 이, 이방 왕의 궁정에서: 다니엘 7장, 신적 생명에 지혜롭게 참여하기 위한 지표

"One Like a Son of Man" in the Court of the Foreign King: Daniel 7 as Pointer to Wise Participation in the Divine Life

https://doi.org/10.2307/26373916

다니엘서 해석에 있어, 7장이 다니엘서 내에서 문학적 경첩 역할을 하여 궁정 이야기와 환상 모두의 독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널리 인정되는 사실이다. 본 논문은 다니엘 7장, 특히 인자 같은 이의 형상이 다니엘 1-6장의 궁정 이야기들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위한 프로그램적 관점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7장의 핵심은 옛적부터 항상 계신 이의 보좌 환상과 그 속의 인자 같은 이이며, 이 환상은 이후 7장 후반부에 등장하는 "거룩한 자들"에게 미치는 중요성으로 해석된다. 인자 같은 이와 거룩한 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은 거룩한 자들이 신적인 삶에 참여하는 역동성을 반영한다. 필자는 이 역동성을 더 깊이 탐구한다. 이는 인자의 복음서적 구현, 참여 주제의 다른 성경적 가닥들, '신화'와 '인간화'를 포함하는 성육신 신학 교리에 대한 이해, 그리고 신적인 삶에 참여하는 것의 윤리적 중요성을 살펴봄으로써 이루어진다. 다니엘서 이야기들의 더 넓은 맥락에서, 궁정의 젊은이들이 신앙을 현명하게 상황에 맞게 적용한 것에 대한 신학적 이해는 이제 다니엘 7장에서 나타나는 신적인 삶에 참여하는 프로그램적 주제에 의해 인도될 수 있다. 그 결과는 보좌 장면에서 인자 같은 이와 함께 참여자로서의 거룩한 자들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제공한다. 그들은 여기서부터 일상적인 신앙생활의 영위에서 지혜를 발휘한다. 그들의 행위는 그들의 참여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그들의 이야기는 신적인 삶에 대한 우리 자신의 윤리적 참여의 일부가 된다.

It is a commonplace of Danielic interpretation that ch. 7 functions as a literary hinge in the book of Daniel in that it affects the reading both of the court tales and of the visions. This article proposes that Dan 7, and particularly the figure of the one like a son of man, may also be interpreted as programmatic for a theological appreciation of the court tales in Dan 1–6. The central point of ch. 7 is the vision of the one like a son of man in the throne room of the Ancient of Days, a vision that is then interpreted in terms of its significance for "the holy ones," who emerge in the second half of ch. 7. The interplay between the one like a son of man and the holy ones reflects a dynamic of participation on the part of the holy ones in the divine life. I explore this dynamic further by looking at the gospel iteration of the Son of Man, other biblical strands of the theme of participation, resulting understandings of the theological doctrine of the incarnation as both "deification" and "inhominization," and the ethical significance of participation in the divine life. In the wider context of the Daniel tales,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wise contextualization of their faith on the part of the young men at court may now be guided by the programmatic theme of participation in the divine life that emerges in Dan 7. The outcome is an appreciation of the role of the holy ones as participants with the one like a son of man in the throne room scene, from whence they exercise wisdom in the routine conduct of the life of faith. Their conduct arises out of their participation. And their stories become part of our own ethical participation in the divine lif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