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1.1.0037
이 에세이는 리처드 헤이즈의 최신 단행본인 『복음서에 나타난 성경의 메아리』를 그 책의 방법론, 복음서에서 예수를 묘사할 때 '신적 정체성' 범주를 활용하는 방식, 그리고 구약 성경에 대한 복음서의 해석을 다룰 때 유대인 해석 전통에 대한 최소한의 언급이라는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첫째, 그 책이 복음서의 구약 사용이 고려되는 '해석학적 렌즈'를 원저자, 최초 독자, 그리고 현대 독자 등 다양한 곳에 위치시킨다는 점을 감안할 때, 좋고 나쁜 해석을 판별할 안정적인 기준이 존재하는지 물을 수 있다. 둘째, 리처드 바우캄이 신약 기독론 논의에 도입했으나 이 책에서는 다소 다르게 사용되는 '신적 정체성'이라는 용어로 예수를 특징화하는 헤이즈의 방식은 그 의미와 유용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셋째, 헤이즈는 다른 1세기 해석 전통들의 존재를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을 덜 빈번하게 다룬다. 이는 그가 복음서의 '생산 백과사전' 또는 최초 독자들의 '수용 백과사전'을 적절히 기술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This essay engages Richard Hays's recent monograph, Echoes of Scripture in the Gospels, through three sets of questions regarding the book's method, its utilization of the category “divine identity” in portrayals of Jesus in the Gospels, and its minimal appeal to Jewish interpretive traditions in sketching the Gospels' readings of OT Scripture. First, given that the book locates the “hermeneutical lens” from which the Gospels' use of the OT is considered in varying places, including with the original author, the first readers, and the contemporary reader, one may ask whether there are stable criteria for adjudicating between good and bad readings. Second, Hays's characterization of Jesus in terms of “divine identity”—a phrase introduced by Richard Bauckham into discussion of NT Christology but here employed somewhat differently—raises questions about its meaning and utility. Finally, although Hays acknowledges the existence of other first-century interpretive traditions, he less frequently engages them, leading one to question whether he has adequately described the “encyclopedia of production” of the Gospels or the “encyclopedia of reception” of their initial 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