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927
누가복음 12:4-34는 하나님을 두려워함과 두려워하지 않음이라는 인류의 이중적 책임에 관해 신약 성경에서 가장 광범위한 담론을 제시한다. 예수님은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것의 무시무시한 측면을 제거하지 않고 이 긴장감을 능숙하게 다룬다. 즉, 하나님은 죽여 지옥에 보낼 권세를 지닌 무시무시하고 '엄격한' 심판자(12:5, 20)인 동시에, 두려움과 불안 대신 기쁨과 자신감을 불어넣는(‘두려워하지 마라,’ 12:4, 7, 32) 모든 생명의 자애로운 양육자로 남아 있다. 이 글은 두 가지 주요 관심사에 의해 추진되는 예수님의 밀도 높은 논증을 전개한다. 그중 하나는 하나님의 성품과 활동, 특히 창조주(및 아버지, 새를 돌보는 자, 지주, 농부, 목자와 같은 관련 이미지)로서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는 신학적인 관심사이다. 다른 하나는 자비로우면서도(여전히 두려운) 하나님이 다스리는 불안한 세상에서 예수님의 ‘친구들’(12:4, 14)과 ‘양 떼’(12:32)의 돌봄과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치유적인 관심사이다. 다른 말로 하면, 누가복음 12:4-34는 삶과 죽음에 대한 하나님 중심적 관점 안에서 유익하고 해로운 두려움 모두에 대한 현명한 인지적-정서적 평가를 안내하는 창조론적이며 목회적인 신학의 대표적인 사례를 이룬다.
Luke 12:4–34 represents the most extensive discourse in the NT concerning humanity's dual responsibility both to fear and not to fear God. Jesus deftly negotiates this tension without excising the terrible aspect of God-fearing: God remains both the fearsome, "demanding" judge with authority to kill and consign to hell (12:5, 20) and the winsome nurturer of all life, inspiring joy and confidence rather than fear and anxiety ("Do not be afraid," 12:4, 7, 32). This article aims to unfold Jesus' densely packed argument, driven by two principal concerns: one theological, focused on the character and activity of God, especially as Creator (and related images of Father, Bird-Keeper, Landowner, Farmer, and Shepherd); and the other therapeutic, focused on the care and security of his "friends" (12:4, 14) and "flock" (12:32) in an anxious world ruled by a gracious (yet still fearsome) God. Put another way, Luke 12:4–34 constitutes a banner example of creational and pastoral theology, guiding wise cognitive-emotional appraisals of fear, both helpful and harmful, within a God-centered view of life and de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