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기독교 주석의 신학적 전제: G. K. 빌과 앙리 드 뤼박의 대화

The Theological Presuppositions of Ancient Christian Exegesis: G. K. Beale and Henri de Lubac in Conversation

https://doi.org/10.2307/26373991

고대 기독교 해석학의 신학적 전제 수용은 신학적 해석 분야에서 논쟁거리이다. 최근 몇 년간, G. K. 비어(G. K. Beale)는 신약성경 저자들의 주석 방식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 방식들의 기저에 깔린 신학적 전제들의 문제에 접근하며, 신약성경의 구약성경 사용 분야에서 선도적인 전문가가 되었다. 비어는 현대 기독교 성경 독자들이 사도들의 주석 방식을 본받아 자신들의 주석을 수행해야 한다고 제안한다.나는 비어를 가톨릭의 '리수르스망(ressourcement)' 신학자 앙리 드 뤼박(Henri de Lubac)과 대화시키고자 한다. 드 뤼박은 영적 해석학의 현대적 복원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부 및 중세 해석학의 독서 전략에 대한 심오한 통찰을 제공하였다. 나는 드 뤼박이 제시하는 성경의 사중적 의미론이 신약성경 저자들의 전제에 대한 비어의 이해와 어떤 심오한 공명점을 발견함을 입증하고자 한다.더욱이, 드 뤼박의 신학적 범주인 '그리스도의 사실(Fact of Christ)'과 '그리스도의 신비(mystery of Christ)', 그리고 그의 비유적 해석(tropology)에 대한 이해는 비어 프로젝트의 지지자들에게 두 가지 건설적인 통찰을 제공한다. 반면, 비어가 강조하는 성경의 해석학적 연속성은 영적 해석학의 지지자들에게 중요한 교정점을 제시한다. 이 두 학자를 대화의 장으로 불러옴으로써, 나는 개신교와 가톨릭 양측의 특정 우려를 다루는 "초교파적 해석학(ecumenical hermeneutic)"을 위한 길을 열고자 한다. 나는 또한 성경의 신학적 해석에서 현대 기독교인들이 어떤 전제들을 수용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건설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두 학자의 프로젝트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을 제안한다.

The appropriation of the theological presuppositions of ancient Christian exegesis is a matter of debate in the discipline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In recent years, G. K. Beale has become a leading expert in the NT use of the OT, having conducted extensive research on the NT authors' exegetical methods and addressing the question of the theological presuppositions underlying these methods. Beale proposes that modern Christian readers of the Bible ought to pattern their exegesis after that of the apostles. I wish to bring Beale into conversation with the Catholic, ressourcement theologian, Henri de Lubac, who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temporary retrieval of spiritual exegesis and has provided profound insight into the reading strategies of patristic and medieval exegesis. I hope to demonstrate that de Lubac's exposition of the fourfold sense of Scripture finds certain profound resonances with Beale's understanding of the NT writers' presuppositions. Furthermore, de Lubac's theological categories, the Fact of Christ and the mystery of Christ, and his understanding of tropology, offer two points of constructive insight for proponents of Beale's project, while Beale's emphasis on the hermeneutical continuity between the Testaments offers an important corrective for proponents of spiritual exegesis. In bringing these two different scholars into conversation, I hope to clear a pathway for an "ecumenical hermeneutic" that addresses certain concerns of both Protestants and Catholics. I also suggest several ways both scholars' projects can work together to address constructively the question which presuppositions modern Christians should appropriate in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