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929
베드로후서 1장 3-11절은 기독교의 테오시스(theōsis, 신화) 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본문이다. 이 본문은 본고에서 필자가 개진할 두 가지 주장의 근거가 된다. 첫째, 필자는 많은 동방 정교회 신학자들이 주장했듯이, 테오시스가 기독교인의 삶의 궁극적인 목표임을 제안한다. 둘째, 필자는 신학 윤리학자로서, 기독교인의 도덕적 삶을 하나님의 선하심에 정초시키는 데 있어 이 본문이 지니는 함의를 탐구하는 데 관심을 둔다. 따라서 테오시스는 단지 중요한 신학적 범주일 뿐만 아니라, 기독교 도덕적 삶의 원천과 목적을 규명하는 데 있어 동등하게 중요한 윤리적 범주이다. 필자는 하나님의 신성(神性)에 대한 우리의 참여로서의 테오시스가 단순히 목표일 뿐만 아니라, 기독교 윤리에서 핵심적인 동기이자 목적으로서 하나님의 선하심을 체현하는 법을 배우는 수단이기도 함을 제안한다. 테오시스의 윤리적 중요성을 더욱 분명히 하기 위해, 필자는 이 본문에 열거된 덕목들을 간략하게 탐구한다. 이 덕목들을 더하고 실천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하나님의 선하심, 나아가 하나님의 본성에 참여하는 것의 일부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이 본문에 대한 신학적 해석은 테오시스를 도덕성과 연결하고, 지금 이 순간뿐만 아니라 하나님과의 연합이 온전히 실현될 때에도 신성에 대한 참여를 통해 우리 삶의 목표를 우리가 살아가는 수단과 통합하는 데 중대한 도덕적 함의를 지닌 테오시스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2 Peter 1:3–11 is an important text for understanding the Christian doctrine of theōsis. This text is the basis for two arguments I will make in this article. First, I suggest, as many Eastern Orthodox theologians have, that theōsis is the desired end of the Christian life. Second, because I am a theological ethicist, I am interested in probing the implications of this text for grounding the Christian moral life in God's own goodness. Theōsis, therefore, is not just an important theological category but an equally important ethical one for locating the source and purpose of the Christian moral life. I will suggest that theōsis as our participation in God's divine nature is not just an end but also a means by which we learn to embody the goodness of God as a key motivation and purpose in Christian ethics. To sharpen the ethical importance of theōsis, I will offer a brief exploration of the virtues listed in this text, suggesting that making every effort to add to and practice these virtues is part of what it means to participate in God's goodness and hence God's nature. In summary,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is text offers an understanding of theōsis with significant moral implications for connecting theōsis with morality, and for integrating the ends of our lives with the means by which we live them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divine nature both now and when our union with God is fully real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