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903
히브리서 저자는 히브리서 11장의 사건과 인물들을 선택하고, 형성하고, 서술한다. 설교자와 청중이 공유하는 집단 기억에 의존하여, 저자는 회중이 언급된 인물들이 보여준 믿음의 삶에 동참하도록 격려한다. 이 믿음의 삶은 실현되지 않은 미래에 근거하기보다 과거 속에 있는 미래의 현존에 근거한다.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을 다루는 히브리서 11장의 특정 부분(8-22절)에서는 요셉과 출애굽 같은 중요한 정체성 형성 집단 기억에 호소한다. 요셉이 출애굽을 기억했다는 놀라운 언급은 과거의 기억 속에 내재된 종말론적 미래에 근거한 참된 소망의 증거로서 출애굽과 같은 집단 기억이 호소되는 한 가지 예이다. 히브리서는 종말론적 미래를 이미 시작된 것으로 묘사하며(히 1:2뿐만 아니라 히 12장에서도 입증되듯이), 그러한 기대를 확고히 하는 또 하나의 수단으로 집단 기억을 활용한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에게 출애굽의 기억은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기억이었을 뿐만 아니라, 예수와 그가 최후의 만찬에서 지향하고 십자가에서 성취하며 마지막 날에 완전히 성취할 구원에 대한 기억이었다.
The author of Hebrews selected, shaped, and narrated the events and characters of Heb 11. By drawing on collective memories shared between the preacher and the audience, the author encourages the congregation to share in the life of faith demonstrated by those who are referenced. This life of faith is not based on an unrealized future but rather on the presence of the future in the past. In the particular section of Heb 11 that deals with Abraham and his descendants (vv. 8–22), there are appeals to significant identity shaping collective memories such as the person of Joseph and the exodus. The surprising comment that Joseph remembered the exodus is one example of the way in which a collective memory such as the exodus is appealed to as evidence for a true hope, based on an eschatological future that is embedded in the memory of the past. The book of Hebrews describes the eschatological future as something that has already begun (demonstrated in Heb 12 as well as in Heb 1:2) and makes use of collective memory as one more means to solidify that anticipation. For early Christians, the memory of the exodus was a memory of God's deliverance demonstrated in the OT, as well as a memory of Jesus and the deliverance he pointed toward at the Last Supper, accomplished on the cross, and will bring to complete fulfillment on the last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