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와 신학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기독교 : 상호관계의 유형과 특징
양극화 시대 교회의 소명
예전적 실천이 윤리적 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회의 병리현상과 신흥종교운동
성경권위담론을 위한 인식론적, 교리적, 해석학적 차원의 통합적 고려
공적으로 신학하기(Doing Theology Publicly): 헤르만 바빙크를 중심으로
세속 시대의 한국 교회를 위한 공공신학
칼뱅의 정치사상과 민주주의 ―관헌과 국민의 복종 및 저항권을 중심으로
관계적 인간에 대한 신학의 존재론적 이해와 실천성 고찰 ― 토마스 토렌스(Thomas Torrance)의 그리스도의 대리적 인성 개념(the Concept of the Vicarious Humanity of Christ)을 중심으로
돌봄의 시대에 칼뱅을 다시 생각하다 ― ‘적응’(Accommodation)의 언어를 중심으로
국민저항권에 대한 공공신학적 접근 ― 법률적 ․ 신학적 고찰
필리오케(Filioque) 논쟁의 교의적 문제들과 의의 ― ‘신앙과 직제 위원회’의 1981년 제안서와 로마가톨릭교회의 1995년 해설서를 중심으로
Status Quaestionis : 요한 크리소스톰과 철학-의학적 치료
국내 발간 영문 잡지를 통해서 본 서구인의 한국 종교 이해, 1890~1940
서울지역 초기 장로교회의 형성과 특징 연구: 연동교회의 설립 과정과 교인층의 변화를 중심으로
만주와 중국 관내 초기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의 역사와 특징 :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리처드 후커와 존 녹스의 성경해석과 전례적 적용, 그리고 선교적 해석과 실천에의 함의
괴로워하시는 하나님과 선교, 그리고 칼뱅
로마의 신들: 개념적 접근
언약: 개혁신학의 핵심 요소
아름다움과 질료에 대한 플로티노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견해
하나님은 사랑(ἔρως)이시다
리처드 마우(Richard J. Mouw)의 공공신학에 관한 연구
초기 기독교 모임의 기원과 발전
초대교회의 베드로 수용과 그 역사적 전유
법 안의 신앙, 신앙 안의 법
양극화 시대 교회의 소명
언약: 개혁신학의 핵심 요소
푸른 제자: 위험에 처한 바다를 위한 기독교적 소명
우리가 누구이기 때문에: 칼뱅의 ‘하나님의 형상’ 교리와 인간 존엄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
칼빈, 성자인가 죄인인가?
목회자를 위한 역사신학 자료 추천
기독교가 유대교 개종 규례에 미친 영향
"니커보커스를 입은 성 프란치스코": 공동체적 삶에 대한 물질적 증언으로서의 에버하르트 아놀트의 기독교 평화주의
바벨탑에서의 언어적 통약 불가능성
파괴적 평화인가?: 누가가 말하는 경제 관행, 가족 내 관계, 그리고 "평화에 이르게 하는 일"
칼 바르트, 헤르만 바빙크, 그리고 유비적 형이상학: 존 베츠에 대한 개혁주의적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