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박국과 고난의 문제: 유보된 신정론

Habakkuk and the Problem of Suffering: Theodicy Deferred

https://doi.org/10.2307/26373917

하박국서에 대한 신학적 독해는 고통의 문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본문을 정경적으로 접근하여, 본 연구는 하박국의 고통에 대한 신학적 반응을 탐구하고 이를 기독교 및 고전적 유신론적 변신론(신정론) 시도와 연결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하박국은 하나님의 백성이 겪는 고통이 어떤 의미에서는 마땅하다는 생각에 신학적 이의를 제기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그는 고통의 정도와 그것을 허용하는 하나님의 공의를 믿음과 종말론적 희망의 관점에서 의문시한다. 악과 고통이 제기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하박국에 의해 명백히 유보되며, 그는 이 질문들에 대한 현재의 해결책 부재에도 불구하고 믿음을 고수한다. 이러한 종류의 독해는 고통의 실천적 차원을 우선시하는 변신론 모델에 지지를 표하며, 고통에 대한 만족스러운 설명을 믿음의 조건으로 주장하는 견해에 도전한다.

A theological reading of the book of Habakkuk offers insight into the problem of suffering. Approaching the text canonically, this study aims to explore Habakkuk's theological response to suffering and the potential to relate this to Christian and classically theistic attempts to articulate a theodicy. Although Habakkuk puts forward no theological objection to the idea that the suffering experienced by God's people is, in some sense, deserved, he nonetheless questions the extent of the suffering and the justice of the God who permits it from a perspective of faith and eschatological hope.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posed by evil and suffering are apparently deferred by Habakkuk, who persists in faith despite the present lack of resolution to these questions. This sort of reading lends support to models of theodicy that prioritize the practical dimensions of suffering, and challenges accounts that would insist on satisfactory explanations for suffering as a condition for faith.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