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오심, 그러나 그 목적은 무엇인가?: 마가복음 13장에서 스가랴 13–14장의 기독론적 사용

The King Arrives, but for What Purpose? The Christological Use of Zechariah 13–14 in Mark 13

https://doi.org/10.2307/26373918

마가복음 13장에 대한 이 분석은 신적 정체성 기독론—특히 하나님의 오심에 대한 기대 속에서 예수를 하나님의 자리에 두는 기독론—이 마가복음 13장의 여러 진술이 가지는 기독론적 함의를 이해하는 데 유익함을 발견한다. 이 본문의 경우, 그 패러다임은 마가복음 13장과 스가랴 13–14장 사이의 암시적 연결로부터 비롯하며, 스가랴서는 하나님의 오심에 대한 소망을 가장 광범위하게 설명하는 본문 중 하나이다. 비록 스가랴서가 마가복음 13장의 내용을 형성하는 유일한 본문은 아니지만, 스가랴 본문의 그리스도 중심적 사용은 특히 마가복음 본문의 기독론적 표현 형태와 그러한 표현들과 연결된 예언적 기대의 다른 측면(예를 들어 예루살렘의 운명과 남은 자를 구성하는 자들의 정체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 그 예언의 내용과 수난 서사에 스가랴 9–14장에 대한 다른 암시들이 존재함을 고려할 때, 여기서 스가랴서와 여러 연결점이 존재한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스토리텔러로서의 마가와 중심 인물로서의 마가복음의 예수 둘 다 스가랴서에서 예수의 정체성을 하나님의 오심에 대한 기대를 구현하고, 하나님의 임재를 지니며, 하나님의 기대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하나님의 독특한 권위를 행사하는 분으로 표현하는 데 적합한 언어를 발견한다.

This analysis of Mark 13 finds the paradigm of a Christology of divine identity—specifically, a Christology that sees Jesus in the place of God in the expectations of God's coming—to be fruitful for understanding the Christological implications of several statements in Mark 13. In the case of this text, the paradigm emerges from the allusive connections between Mark 13 and Zech 13–14, one of the most extensive explications of the hope of God's coming. Although it is not the only text that influences the content of Mark 13, the Christocentric use of the Zecharian text particularly affects the shape of Christological expressions of the Markan text and other aspects of prophetic expectation linked to those expressions (such as the fate of Jerusalem and the identity of who constitutes the remnant). Given the content of the prophecy and given the presence of other allusions to Zech 9–14 in the passion narrative,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re are multiple connections to Zechariah here. Mark—as the storyteller—and the Markan Jesus—as the central character—find in Zechariah fitting language to express Jesus's identity as one who embodies the expectation of God's coming, bears God's presence, enacts God's expected roles, and exercises God's unique authority.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