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900
신학 학파들, 예컨대 토마스주의, 스코투스주의, 루터주의, 칼뱅주의 등은 오랫동안 학계의 문제적 특징이었다. 이들은 많은 논쟁과 상호 비난을 야기하였다. 본고는 고린도전서 1장 12-13절("각자가 이르기를, '나는 바울에게 속하였다,' 혹은 '나는 아폴로에게 속하였다,' 혹은 '나는 게바에게 속하였다,' 혹은 '나는 그리스도에게 속하였다' 하는도다. 그리스도가 나뉘었느냐? 바울이 너희를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혔느냐? 혹은 너희가 바울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느냐?")에 대한 전근대적 해석을 통하여 이러한 학파들에 대한 신학적 비판을 제기한다.이 해석은 세 단계를 거쳐 진행한다. 첫째, 유일한 교사이신 그리스도의 고유한 권위와 그 권위에 대한 신학자들의 관계를 고찰한다. 둘째, 철학적, 이단적, 수도원적, 스콜라적, 개신교적 학파들을 막론하고 사상 학파들이 그리스도의 권위를 위배한다는 점을 들어 이러한 학파들을 향한 비판적 논쟁을 다룬다. 셋째, 그러한 교리가 아우구스티누스적 의미에서 그리스도가 교회에 준 모든 교사들을 그의 가르침과의 적절한 관계 안에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긍정적 함의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현대적 상황에서 학생들과 교사들이 이러한 해석에 어떻게 반응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몇 가지 권고가 제시된다.
Theological schools of thought, such as Thomism, Scotism, Lutheranism, and Calvinism, have long been a problematic feature of the academy. They have given rise to much polemic and mutual recrimination. This article puts forward a theological critique of these schools by way of a reading of premodern exegesis of 1 Cor 1:12–13: "Each of you is saying, 'I am of Paul,' or 'I am of Apollos,' or 'I am of Cephas,' or 'I am of Christ.' Is Christ divided? Was Paul crucified for you? Or were you baptized into the name of Paul?" This reading proceeds in three stages: first, an examination of Christ's proper authority as the one teacher and the relationship of theologians to that authority; second, the polemic against schools of thought, whether philosophical, heretical, monastic, scholastic, or Protestant, as contravening Christ's authority; third, the positive implications of such a doctrine for how we are to "use," in the Augustinian sense, all teachers Christ has given the church, in light of their proper relationship to his teaching. Finally, a few recommendations for how students and teachers can respond to this exegesis in the contemporary setting ar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