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와 지식의 보고: 고대적, 현대적 바울 해석에서 미학의 역할

The Treasures of Wisdom and Knowledge: The Role of Esthetics in Ancient and Modern Interpretations of Paul

https://doi.org/10.2307/26373875

이 글은 기본적인 해석학적 전제가 성경 해석, 곧 역사비평적 해석과 신학적 해석 모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먼저, 본고는 더글러스 캠벨의 『하나님의 구원』에서 발견되는 로마서 1장에 대한 최근의 논쟁적인 역사비평적 해석을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에 있는 동일한 구절에 대한 주석과 비교하여 검토한다. 캠벨은 바울이 로마서 서두 장들에서 반대자의 설교를 풍자하고 논증을 소크라테스식 귀류법으로 수행하여 자신의 메시지를 위한 길을 닦는다고 본다. 비록 캠벨의 해석에 대한 많은 비판이 그 참신함에 다소의 당혹감을 표하지만, 필자는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로마서 1:18-32, 특히 1:20에 대해 수행하는 일련의 해석적 움직임이 해당 구절이 재해석될 가치가 있다는 캠벨의 주장을 전통으로부터 강력하게 지지한다고 제안한다. 캠벨의 비의도적인 아우구스티누스와의 공감대는 캠벨의 폴라니적 해석학과 아우구스티누스의 'fides quaerens intellectum'(신앙은 이해를 추구한다) 간의 접근 방식 유사성에서 비롯된다. 이 두 방식은 모두 독자 자신의 전제가 텍스트에 미치는 영향을 인정하면서도 경쟁적인 해석들 사이에서 판단할 의미 있는 방법을 보존한다. 필자는 두 독자 모두에게 있어 텍스트에 대한 경쟁적인 해석들이 그 타당성을 얻기 위해서는, 다중 해석적 차원에서 텍스트의 모든 특징을 단순성과 용이성으로 다룰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다고 제안한다. 이는 고대 신학자들이 '적합성'(fittingness)이라고 불렀던, 명백히 미학적인 기준이다. 필자는 미학적 탐구 방식이 캠벨과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다른 공감대를 발견하는 데 특히 유용할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effect of basic hermeneutical commitments on biblical interpretation, both historical-critical and theological. First, it examines a recent and controversial historical-critical reading of Rom 1, found in Douglas Campbell's The Deliverance of God, by placing it in conversation with St. Augustine's own exegesis of the same passage in De Trinitate. Campbell sees Paul to be enacting in the opening chapters of Romans a parody of an opponent's preaching and performing a Socratic reduction to absurdity of the argument, clearing the way for his own message. Although many critiques of Campbell's reading note its novelty with some frustration, I suggest that the complex of interpretive moves St. Augustine performs on Rom 1:18–32, and especially on 1:20, constitute a weighty recognition from tradition in support of Campbell's thesis that the passage is ripe for rereading. Campbell's unintentional sympathy with Augustine is found owing to a similarity in approach between Campbell's Polanyist hermeneutic and Augustine's fides quaerens intellectum, both of which admit the effect of readers' own commitments on a text while preserving a meaningful way to arbitrate between competing readings. For both readers, I suggest, competing construals of a text depend for their validity on their ability to negotiate all the features of a text on multiple interpretive planes with simplicity and ease, an admittedly esthetic criterion that ancient theologians would call "fittingness." I conclude that esthetic modes of inquiry may be especially fruitful in discovering other sympathies such as those of Campbell and Augustin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