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을 경외할 때, 나는 무엇을 두려워하는가? 성경적 주제의 신학적 재고찰

What Do I Fear When I Fear My God? A Theological Reexamination of a Biblical Theme

https://doi.org/10.2307/26373871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을 성경적 비유로 흔히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 조직신학자와 구성신학자는 종종 이를 검토하지 않은 채 두었다. 반면 성경신학자는 이를 세 가지 관점 중 하나로 설명해왔다. 곧 루돌프 오토의 견해에 따라 '거룩함'에 대한 반응으로,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감정적 반응으로, 혹은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순종으로 설명한다. 이 글은 앞의 두 가지 선택지에는 반대하고 세 번째 선택지를 성경적 용어에 대한 가장 좋은 이해로 주장한다. 이는 토라와 마태복음에 대한 신학적 탐구를 토대로 이루어진다.이 글은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이 하나님의 언약 백성 안에서 장려되고, 배우며, 성장하는 인간의 성향이라고 결론짓는다. 따라서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은 무엇보다 하나님께 대한 순종을 포함하는, 하나님께 대한 적절한 관계적 성향으로 요약될 수 있다. 나아가 이 순종은 타인에게 의롭고 사랑을 베푸는 것을 내포한다.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은 인간을 마비시키거나 압도하지 않고, 오히려 적절한 인간의 행위와 사고의 토대가 된다.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이 성향은 인간의 번영으로 이끌지만, 이 인간의 번영은 하나님과 하나님의 왕국이라는 더 큰 의미의 지평에서 이해될 때에만 진정하다고 본다. 그리하여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은 인간 행위의 공백과는 거리가 멀고, 인류를 위해 하나님이 주신 사회성의 형태이다.

Many commonly misunderstand "the fear of God" as a biblical trope. Systematic and constructive theologians have often left it unexamined; biblical theologians have explicated it from one of three perspectives: either as a response to "the Holy" (drawing on Rudolf Otto), as a human emotional reaction to God, or as human obedience to God. This essay argues against the first two options and for the third as the best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al term and does so on the basis of theological exploration of the Torah and the Gospel of Matthew. The account concludes that fear of God is a human disposition encouraged, learned, and grown within the covenant people of God. Fear of God might be summarized therefore as an appropriate relational disposition toward God, involving obedience to God above all others; furthermore, this obedience to God implies being just and loving toward others. Fear of God does not paralyze or overwhelm the human creature but is the basis for proper human acting and thinking. This disposition of fearing God leads to human flourishing, but sees this human flourishing as genuine only when understood against the greater horizon of meaning that is God and God's kingdom. Thus fear of God, far from being the hiatus of human agency, is the form of sociality given by God for humanity.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