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988
다니엘 보야린은 최근 오리게네스의 알레고리적 주석을 일종의 탈육체적 역사로 특징짓는다. 보야린은 오리게네스의 성경 해석에 대한 영적 접근법을 랍비 미드라쉬와 대비하는데, 랍비 미드라쉬는 보야린에 따르면 역사와 육체의 온전함을 보존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보야린은 오리게네스의 주석이 실제 역사적 사건에 무관심하다는 R. P. C. 핸슨의 고전적 비판을 부분적으로 부활시킨다.오리게네스의 해석학적 관행의 영향에 대한 보야린의 특징화에 수정을 가하고자 본 논문은 (1) 지난 세대 학계가 핸슨의 오리게네스 평가를 대체로 거부하여 보야린의 유사한 주장이 다소 이상하게 보이게 하는 방식을 보여주고; (2) 오리게네스의 창세기 강해 1을 해석하여 그의 알레고리적 주석이 청중들에게 역사와 육체의 중요성을 극적으로 강조하는 방식을 제시하며; (3) 오리게네스가 역사와 육체에 관심을 두지만, 핸슨과 보야린 같은 학자들이 그에게 바라는 방식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Daniel Boyarin has recently characterized Origen's allegorical exegesis as a sort of disembodied history. Boyarin contrasts Origen's spiritual approach to the Scriptures with that of rabbinic midrash that, according to Boyarin, preserves the integrity of both history and bodies. In doing so, Boyarin has resurrected something of R. P. C. Hanson's classic critique of Origen's exegesis as disinterested in the actual events of history. Attempting to offer a corrective to Boyarin's characterization of the ramifications of Origen's interpretive practices, this article (1) demonstrates the way in which the last generation of scholarship has largely rejected Hanson's evaluation of Origen, making Boyarin's similar charge somewhat strange; (2) presents a reading of Origen's Genesis Homily 1 that shows how Origen's allegorical exegesis dramaticall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history and bodies for his hearers; and (3) argues that Origen is concerned with history and bodies, just not in the way that scholars such as Hanson and Boyarin would like him to 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