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928
로마서 8:19–22와 그 "신음하는 피조물"은 오랫동안 주석가들 사이에서 활발한 논의와 이견을 불러일으켰다. 이 구절은 더 전통적인 역사 비평과 더불어 최근 특정 맥락의 신학적 해석 대상이 되었다. "생태 위기"에 대응하는 주석가들은 본문을 활용하여 성서학 연구와 환경 문제의 교차점을 탐구한다. 이 연구는 역사적 관점으로 이러한 폭넓은 해석 논의에 참여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4세기까지의 본문에 대한 교부 해석을 추적하며, 특히 "신앙 규율"과 이것이 고대—그리고 어쩌면 현대—해석학으로서 갖는 유용성에 주목한다. 상세히 분석하는 인물들로는 이레나이우스, 암브로시아스터, 오리게네스, 아우구스티누스가 있다. 이 연구는 초기 교회의 규율이 로마서 8:19–22와 관련하여 실제로 효과적인 해석 도구였음을 시사하며 결론을 맺는다—단, 특정 조건 하에서만 그렇다.
Romans 8:19–22 and its "groaning creation" have long provoked lively discussion and disagreement among commentators. Alongside more traditional historical criticism, the passage has recently been the subject of theologically driven interpretation in a particular vein. Commentators responding to the "ecological crisis" have utilized the text to explore the intersection of biblical studies and environmental concerns. This study seeks to enter these wider interpretive discussions with historical perspective. In this article, I trace Patristic exegesis of the text through the fourth century,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Rule of Faith" and its fruitfulness as an ancient–and perhaps contemporary—hermeneutic. Figures that I analyze in detail include Irenaeus, Ambrosiaster, Origen, and Augustine. The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the early church's Rule was indeed an effective interpretive tool in regard to Rom 8:19–22—but only under certain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