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적 임재의 예언자적 표상: 엘리야-엘리사 이야기 순환의 신학적 해석

Prophetic Representations of the Divine Presence: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Elijah-Elisha Cycles

https://doi.org/10.2307/26373873

엘리야와 엘리사에 관한 이야기들은 여러 독특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 중 가장 명백한 것은 다른 예언자들에게서는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그들이 행한 기적이다. 이 글은 학술 연구에서 이제껏 발견되지 않은 또 다른 독특성에 초점을 맞춘다. 엘리야와 엘리사와 관련된 많은 에피소드들은 히브리 성소, 즉 성막과 성전 또는 신현(神現)과 관련된 언어를 포함한다. 이 두 가지는 둘 다 신적 현존의 표상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개념적으로 연관된다. 성소의 의식과 비품에 대한 암시들, 그리고 예언자들을 중심으로 한 신현적 요소들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의도적인 문학적 장치로 간주된다.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이 메시지의 신학적 함의를 주로 그것의 즉각적인 역사적 맥락 안에서, 그리고 더 나아가 더 큰 정경적 틀 안에서 논한다.

The narratives concerning Elijah and Elisha contain a number of unique elements, the most evident of which is the miracles they performed, without parallel among the other prophets. This article focuses on a further uniqueness hitherto undetected in scholarly research. Many of the episodes involving Elijah and Elisha include language relating either to the Hebrew sanctuaries, namely, the tabernacle and temple, or to theophanies. These two are conceptually associated in that both serve as representations of the divine presence. Allusions to the ritual and furniture of the sanctuary, as well as theophanic elements centering on the prophets, are taken as deliberate literary devices intended to communicate a message to the people of Israel. The latter part of this article discusses the theological import of this message, primarily within its immediate historical context, but also within the larger canonical framework.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