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987
문학적 맥락과 별개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흔히 '사마리아인처럼 행동하라'는 간단한 도덕적 교훈을 가르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누가복음의 맥락에 더 주의를 기울이면, 이 비유가 율법을 해석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더 큰 목적에 기여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는 비유 바로 앞에 나오는 질문들, 즉 "율법에 무엇이라 기록되었으며, 어떻게 읽느냐?"에 의해 특히 분명해진다. 비유의 문법, 구조, 그리고 서사적 맥락을 면밀히 읽어보면, 그 비유가 생명을 살리는 토라 해석이 연민, 행동, 그리고 고통받는 자들과의 연대에 의해 특징지어짐을 설명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제사장과 레위인은 토라에 대한 왜곡된 해석을 증명하는 율법의 구현자들로서 대조적인 인물로 기능한다. 대조적으로, 사마리아인은 놀랍도록 모범적인 토라 읽기를 구현한다. 비유의 끝에는 또 다른 반전이 있다고 의심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 이는 독자로 하여금 비유 속 피해자의 관점을 채택하도록 이끌며, 그리하여 율법의 올바른 해석이 고통받는 자들과 소외된 자들의 관점을 고려해야 함을 가르친다.
Apart from its literary context,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is commonly understood to teach a simple moral: act like the Samaritan. Closer attention to its Lukan context, however, reveals that this parable is serving the larger purpose of teaching one how to interpret the Law, made particularly evident by the questions that closely precede the parable: "What is in the Law, and how do you read it?" Through a close reading of the parable's grammar, structure, and narrative context, one discovers that the parable illustrates how life-giving interpretation of Torah is characterized by compassion, action, and solidarity with the suffering. The priest and Levite function as foils—those whose embodiment of the Law attests to a distorted interpretation of Torah. The Samaritan, in contrast, embodies a surprisingly exemplary reading of Torah. There is also good reason to suspect another twist at the end of the parable, one that invites the reader to adopt the point of view of the parable's victim, thereby teaching that proper interpretation of the Law must take into account the perspective of the suffering and marginal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