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897
오늘날의 '콘스탄티누스 이후' 교회의 상황은 성서 신학, 특히 구약성서와 그 정치적 증언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요구한다. 존 하워드 요더의 '예레미야적 전환'은 '유배적' 해석학을 위한 설득력 있는 모델을 제공하지만, 이는 종교사적 제안이라기보다는 정경적 제안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모든 성서 기반의 정치 신학에 여전히 기초를 이루는 구약의 모세 및 다윗 전통에 대한 더욱 충실한 이해와 관여가 필요하다. '기독교 왕국 이후'의 교회는 단순히 '땅 없는' 공동체가 아니라 '자리를 잡은' 공동체가 될 것이며, 전통을 준수하는 것을 넘어 종말론적으로 지향하고, 신약 공동체에 그치지 않고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구약의 비전 또한 부분적으로 계승하는 존재가 될 것이다.
The situation of today's "post-Constantinian" church invites new approaches to biblical theology,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OT and its political witness. John Howard Yoder's "Jeremianic turn" provides a compelling model for an "exilic" hermeneutic, but it requires reframing as a canonical rather than history-of-religions proposal. Also needed is more appreciative engagement with the OT's Mosaic and Davidic traditions, which remain foundational for any biblically based political theology. The church "after Christendom" will not only be "landless" but "placed," not only tradition-observant but eschatologically oriented, not only a NT community but part heir to the OT's vision of a people of G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