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탐색

이사야 40-55장의 출애굽 모티프: "여호와의 팔"을 중심으로
요한계시록의 인자 기독론과 칠십인경 다니엘서의 메시아 사상
하나님의 말씀과 욥의 반응: 욥기 지혜의 열린 결말
주의 날에 붙잡힌 날의 아들들: 데살로니가전서 5장 4-5절 이해에 대한 재고
로마서 11장 25-26절에 나타난 “온 이스라엘”의 용례에 관한 연구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바울의 “하나님의 이스라엘” 개념과 종말론적 회복
새로운 사도행전 본문 -­ 네스틀레-알란트 28판과 대비평본의 차이점들
예수 전승의 전달에서 전달의 주체와 전승의 신뢰성 - 양식비평과 사회적 기억이론에 대한 평가 -
필론과 요한복음의 공통 상징들: C. H. Dodd의 제안과 후속 연구들에 대한 비평적 분석
야고보서에 나타난 두 갈래길 전통 모티프: 야고보서 1장을 중심으로
바울 우주론의 재구성 - 바울의 우주적 이원론과 ‘세상의 초등학문’ -
보편적 인간 혹은 아브라함의 자손?: 히브리서 2:11, 17에 나타난 ‘형제’(ἀδελφοί)에 관한 연구
골로새서 2:14-23에서 언급된 규례들(δογματα)에 대한 새로운 접근
로마의 사회적, 법적 배경에서 바라본 갈라디아서 5:13의 자유와 예속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바울 교회의 형성
복음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복음서의 장르적 읽기를 위한 프롤레고메나
마가복음은 βίος인가? - 헬렌 본드(H. K. Bond)의 The First Biography of Jesus에 대한 분석과 평가
“내 나라는 이 세상에서 유래하는 것이 아니다”(18:36): 요한복음의 ‘왕’(Basileus) 개념에 대한 사상사적 접근
이사야 40-55장의 출애굽 모티프와 선교적 의미
출애굽 내러티브 선교적으로 읽기
“이스라엘 나라를 회복하심이 이 때니이까” (사도행전 1:6)
아나니아와 삽비라의 이야기: 사도행전 5:1-11
사도행전: 쫓겨난 사람들의 이야기(사도행전 8:1)
비시디아 안디옥으로의 여정: 사도행전 13:13-14
예수의 영이 복음 전파를 금지한 이유: 사도행전 16:7
역사적 예수와 축귀: 마가복음 5:1-20의 역사적 진정성 논증
요한복음의 παράκλητος: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을 참조하여
우리가 누구이기 때문에: 칼뱅의 ‘하나님의 형상’ 교리와 인간 존엄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
칼빈, 성자인가 죄인인가?
유대교 안의 바울: 바울과 유대적 정체성에 관한 관점
목회자를 위한 역사신학 자료 추천
하나님 해부하기?
고대 유대교의 정결: 본문, 맥락, 개념
기독교가 유대교 개종 규례에 미친 영향
신학적 해석으로서의 선교적 해석학
“우리가 이와 같이 로마로 가니라”: 보디올에서 만난 “형제들”(행 28:13-14)
두 언약이 전하는 복음: 성경신학과 복음의 정경적 구조
바울의 영광 안에서의 승리 신학: 부활과 십자가의 연합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바울의 그리스도 형상적 지혜: 지혜의 목회적 해석학에 따른 종말론적 목적론적 계시
마가복음 안에 나타난 속전 로기온과 제자도의 대가
색다른 전쟁: 신명기 20:1–14와 누가복음 10:1–24 간의 대화
토라와 속죄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성령의 영원한 발출: 친니케아적 관점에서의 신학적 해석
신실한 견인의 소망: 히브리서 6:13–20에 나타난 하나님의 단순성
하나님의 정치: 사도행전 4-5장에서의 그리스도인들의 제국 대면
그럼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라 '그러므로': 칼 바르트와 함께 빌립보서 2장을 따르며
요한 크리소스톰이 말하는 욥기 38-41장에 나타난 길들여지지 않은 자연의 위안
영광의 왕은 누구이신가?: 교부들의 위격적 해석 두 가지 예시의 식별 및 설명, 그리고 매튜 베이츠에 대한 간략한 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