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 역사 비평은 개신교 신학의 맥락에서 등장했으며, 그 연구의 모든 측면에서 유대 민족과 그들의 문헌이라는 타자성(otherness)과 마주한다. 그러나 몇몇 중요한 예외에도 불구하고, 학계가 가장 중요한 ‘타자’와 어떻게 관계를 맺어왔고 또 맺고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은 거의 없었다. 본 논문집은 19세기부터 현재까지 성서학 내에 존재해 온 반유대주의, 친유대주의, 그리고 반유대교 사상에 대한 성찰을 제공한다. 수록된 논문들은 과거를 성찰하고, 폭력과 증오에 빠지기 쉬운 학문 자체의 경향성을 유념하는 미래의 연구를 위한 길을 예비한다.
Historical criticism of the Bible emerged in the context of protestant theology and is confronted in every aspect of its study with otherness: the Jewish people and their writings. However, despite some important exceptions, there has been little sustained reflection on the ways in which scholarship has engaged, and continues to engage, its most significant Other. This volume offers reflections on anti-Semitism, philo-Semitism and anti-Judaism in biblical scholarship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The essays in this volume reflect on the past and prepare a pathway for future scholarship that is mindful of its susceptibility to violence and hat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