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제국 모티프는 다양한 문화, 시대, 장소의 저자들이 유토피아 시대를 향해 나아가는 단계적 제국 계승의 과정으로 역사를 시대 구분할 수 있게 했다. 이 모티프는 조상의 전통과 문화유산(과거)의 관점에서 제국 치하의 삶의 경험(현재)에 질서를 부여했으며, 소망, 구원, 회복을 보장하는 전망(미래)에 영감을 주었다.『다니엘서 이전과 이후의 네 제국 모티프』는 고전 및 고대 근동 문헌, 유대교와 기독교 경전, 사해 두루마리, 외경과 위경, 유럽 건축과 지도 제작술, 그리고 고대부터 중세에 이르는 교부, 랍비, 이슬람, 아프리카 문헌에서 나타나는 이 모티프의 영향 범위와 재활용을 탐구하는 13편의 논문을 수록한다.
The four kingdoms motif enabled writers of various cultures, times, and places, to periodize history as the staged succession of empires barrelling towards an utopian age. The motif provided order to lived experiences under empire (the present), in view of ancestral traditions and cultural heritage (the past), and inspired outlooks assuring hope, deliverance, and restoration (the future). Four Kingdom Motifs before and beyond the Book of Daniel includes thirteen essays that explore the reach and redeployment of the motif in classical and ancient Near Eastern writings, Jewish and Christian scriptures, texts among the Dead Sea Scrolls, Apocrypha and pseudepigrapha, depictions in European architecture and cartography, as well as patristic, rabbinic, Islamic, and African writings from antiquity through the Mediaeval er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