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의 읽기를 통한 여호수아 헤렘 본문의 윤리적 해석

이 논문은 여호수아서의 헤렘을 오늘날 우리를 위해 대안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여호수아서는 수용사적으로 고대와 현대의 인종청소를 정당화하는 문제있는 해석을 초래해왔다. 하나님의 이름으로 인종청소와 대량학살을 옹호하는 듯한 뉘앙스는 많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들 모두를 시험들게 했으며, 복음의 확산에 장애물이 되어왔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대 해석학의 연구방법들을 사용하며, 특히 '회복의 읽기'(Horrell, Hunt, and Southgate, 2010)에 초점을 맞춘다. 하나님의 말씀을 여호수아의 언행과 비교하는 작업을 통하여, 여호수아서의 독자는 여호수아가 범한 여러 가지 실수들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여호수아 1장, 2-6장, 7-8장, 9-10장과 11장의 사례 연구는 하나님께서 온 가나안 민족들을 죽이는 것을 말씀하지 않으셨지만,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의 명령을 오해해서 토착민들을 실수로 죽였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제안되는 여호수아서 대안적 읽기는 하나님의 이름으로 인종청소를 정당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해석을 제공해줄 것이며, 학살을 정당화 하는 것 때문에 하나님을 믿는데 방해받아온 사람들을 기독교 공동체로 다시 초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uggests an alternative way to interpret Joshua herem passages today. The book of Joshua has led to a history of problematic biblical receptions that justify ancient and modern genocides. Its nuance, advocating for genocides and massive killings in the name of God, has challenged many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like. It has also become an obstacle to the spread of the Gospel. For this purpose, this paper uses contemporary hermeneutical research methods, especially ‘reading of recovery’ (Horrell, Hunt, and Southgate, 2010). By comparing God’s speeches with Joshua’s speeches and practices, a reader of the book of Joshua finds that Joshua committed many mistakes. Case studies on the selected texts in Joshua (chapters 1, 2-6, 7-8, 9-10, and 11) demonstrate that God has not spoken of killing all the Canaanite people. However, Joshua and the people of Israel probably misunderstood God’s commandments and then mistakenly killed indigenous people. An alternative reading of Joshua suggested in this paper may provide an interpretation that prevents justifying genocides in the name of God. Therefore, it could extend an invitation to those who have been disturbed by the justification of killings back into the Christian community.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