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서의 전반부에는 ‘벽 위에 쓰인 글씨’처럼 세계적으로 유명한 이야기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이야기들은 히브리어가 아닌 아람어로 주로 전승되었으며, 영향력 있는 묵시인 다니엘 7장 또한 마찬가지다. 이 아람어 자료집은 여러 저자가 집필했음을 보여주는 분명한 징후를 담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서로 다른 텍스트 층위를 분리해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성전 시대 동안 다니엘 자료의 기능 변화에 대해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본 연구서는 다니엘서의 마소라 본문을 본문 이형(textual variant)을 보존하고 있는 고대 사본 및 번역본들과 비교한다. 이를 통해 모든 텍스트의 기저에 있는 재구성된 원형(archetype)의 긴장 관계를 조명하고, 이야기의 전사(prehistory)를 더욱 깊이 탐구함으로써, 오늘날 우리가 아는 다니엘서가 되기까지 다니엘이 겪었던 많은 변형 과정을 보여준다.
The first half of the book of Daniel contains world-famous stories like the Writing on the Wall. These stories have mostly been transmitted in Aramaic, not Hebrew, as has the influential apocalypse of Daniel 7. This Aramaic corpus shows clear signs of multiple authorship. Which different textual layers can we tease apart, and what do they tell us about the changing function of the Danielic material during the Second Temple Period? This monograph compares the Masoretic Text of Daniel to ancient manuscripts and translations preserving textual variants. By highlighting tensions in the reconstructed archetype underlying all these texts, it then probes the tales’ prehistory even further, showing how Daniel underwent many transformations to yield the book we know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