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에서 한나 바노넨은 「밀하마」 및 「세페르 하밀하마」 사본에 대한 철저하고 정밀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이 분석은 사본의 내용뿐만 아니라 물질적 유물로서의 사본 자체에도 주목한다. 바노넨은 ‘전쟁 전승’의 안정성과 불안정성을 연구하는 것이 전통적인 연대기적 문헌-비평 모델보다 이 복잡한 자료를 더 올바르게 평가하는 길임을 증명한다. 또한, 적어도 전례적 사용과 학습 목적의 필요가 동시대에 중요했던 여러 다른 사본들을 제작하게 만들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In this volume, Hanna Vanonen offers a fresh view to the Milhamah and Sefer ha-Milhamah manuscripts by producing a thorough close-reading analysis of them, paying attention not only to their contents but also to manuscripts as material artifacts. Vanonen demonstrates that studying the stability and instability of the War traditions does more justice to the complex material than a traditional chronological literary-critical model. In addition, Vanonen argues that at least liturgical use and study purposes may have created needs for producing different manuscripts that were simultaneously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