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와 역대기의 아달랴 기사 비교를 통해 본 역대기 저자의 의도

열왕기와 역대기는 유다 왕조의 정통성을 갖지 못하는 비 다윗 계열인 아달랴의 통치에 대해 짧게 기록하고 오히려 아달랴가 제사장 여호야다의 도움을 받은 다윗 계열의 왕 요아스에 의해 어떻게 물러났는지에 관하여 상세히 기록한다. 아달랴가 유다의 왕이 되고 7년 후에 여호야다의 혁명에 의해서 죽임을 당하고 물러나기까지의 과정은 열왕기하 11장 1-20절과 역대하 22장 10절-23장 21절에 기록되어 있다. 역대기 저자는 역대하 22장 10절-23장 21절의 아달랴 기사를 기록함에 있어 그의 저본(Vorlage)인 열왕기하 11장 1-20절의 큰 흐름을 따라가지만 적지 않은 부분에서 열왕기 본문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이 소론의 목적은 열왕기와 역대기의 아달랴 본문을 비교하여 역대기 저자의 수정과 보완에 반영된 역대기 저자의 의도(Tendenz)를 파악하는 것이다. 두 아달랴 본문의 비교를 위해 아래와 같이 내용을 다섯 부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1) 아달랴의 등극과 요아스의 생존(왕하 11:1-3//대하 22:10-12), 2) 여호야다의 혁명: 왕궁과 성전호위(왕하 11:4-8//대하 23:1-7), 3) 요아스의 왕위 등극(왕하 11:9-12//대하 23:8-11), 4) 아달랴의 처형(왕하 11:13-16//대하 23:12-15), 5) 언약체결과 개혁(왕하 11:17-20//대하 23:16-21) 역대기 본문에 나타난 저자의 의도는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역대기 저자는 다윗 계열의 왕위를 회복시키는 혁명이 단순히 여호야다와 왕궁 호위병들의 모의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의 폭넓은 지지 가운데 일어난 것임을 강조하였다. 둘째, 역대기 저자는 여호야다의 혁명에 레위인과 제사장의 역할을 부각시켰는데 이는 성전을 중심으로 레위인과 제사장이 중요한 역할을 감당했던 포로기 이후의 이스라엘 공동체의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역대기의 아달랴 기사에서 성전을 섬기는 제사장과 레위인이 부각된 것과 같은 맥락에서 역대기 저자는 성전의 거룩성을 강조하였다. 넷째, 역대기 저자는 다윗 계열의 왕 요아스의 회복을 기록하면서 다윗과 다윗언약, 다윗 왕조의 중요성을 환기시켰다.

Whereas the narrative of the non-Davidic Athaliah’s reign in Kings and Chronicles is short, both books narrate how Athaliah was expelled by the Davidic king, Joash, who was guided by the priest, Jehoiada in detail. The seven years reign of Athaliah and the murder of her is recorded in 2 Kings 11:1-20 and 2 Chronicles 22:10-23:21. Though the Chronicler followed his Vorlage, 2 Kings 11:1-20 in 2 Chronicles 22:10-23:21, he altered and added in many place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grasp the Chronicler’s intention reflected in the Chronicler’s alteration and supplementatio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Athaliah texts in Kings and Chronicles. For the comparison, I divided the texts into five parts: 1) The enthronement of Athaliah and Joash’s survival (2 Kgs 11:1-3//2 Chr 22:10-12), 2) Jehoida’s revolution: the guard of the palace and the temple (2 Kgs 11:4-8//2 Chr 23:1-7), 3) Joash’s enthronement (2 Kgs 11:9-12//2 Chr 23:8-11), 4) The execution of Athaliah (2 Kgs 11:13-16//2 Chr 23:12-15), 5) covenant and reformation (2 Kgs 11:17-20//2 Chr 23:16-21). Having compared and analyzed the Athaliah texts of Kings and Chronicles, I proposed four intentions of the Chronicler. First, the Chronicler revealed that the Jehoiada’s revolution was not just implemented by the royal bodyguards but also supported by the Israelites on a large scale. Second, the Chronicler stressed the Levites’ and priests’ roles in the revolution, which reflected the leadership of the Levites and priests in the postexilic Israelites community. Third, as the Chronicler underscored the roles of the Levites and priests, he emphasized the holiness of the temple. Fourth, the Chronicler reminded the readers of the significance of David, the Davidic covenant, and the Davidic kingdom in the account of the restoration of the Davidic king, Joash.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