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로새서의 ‘형상(image)’ 개념이 지닌 구체적인 윤곽을 밝히기 위해, T.R. 나일스는 그리스도가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서술되는 표현을 쿰란 문서, 솔로몬의 지혜서, 필로, 플루타르코스 등 고대의 다양한 ‘형상 담론’ 안에 위치시킨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specific contours of the image concept of Colossians, T.R. Niles situates the predication of Christ as the »image of the invisible God« in various ancient image discourses, such as those of Qumran, the Wisdom of Solomon, Philo, and Plut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