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explores language variation in Biblical Hebrew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Language variation refers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same linguistic or grammatical meaning is realized by two or more forms (e.g., both mamlākāh and malkût in Biblical Hebrew mean “kingdom” or “reign”). So far, language variation in Biblical Hebrew has been studied mainly in the context of the Documentary Hypothesis of the Pentateuch. However, a field that focuses primarily on this phenomenon is sociolinguistics. Thus, upon defining language variation, the study surveys how linguists of the past regarded it as unimportant and arbitrary and how contemporary sociolinguists consider it foundational in understanding language. Language variation includes historical (or chronological) variation, regional variation, and social variation. The study examines the cases in Biblical Hebrew which represent these three kinds of language variation. First, mamlākāh and malkût (“kingdom”, “reign”) are an exemplar of historical variation, the choice of which in the Hebrew Bible is best explained by chronology. Second, the two relativizers ’ăšer and še- and the near homonyms šibbolet and sibbolet each illustrate regional variation. The first pair shows the contrast between the southern Judahite Hebrew and the northern Israelian Hebrew. The second pair discloses the difference of the consonant repertoire between the Gileadites and the Ephraimites. Last, in referring to oneself, the Biblical Hebrew speaker could choose from the first person singular pronoun and ‘abdĕkā/’ămātĕkā/šipḥātĕkā (“your servant”). The choice is conditioned by factors such as situation and the social statuses of the speaker and the addressee. Through studying language variation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we will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of Biblical Hebrew, the literary strategies of biblical writers, and the world of the Hebrew Bible.
본 연구는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성서 히브리어의 언어 변이를 탐구한다. 언어 변이란 동일한 언어적 또는 문법적 의미가 두 가지 이상의 형태로 실현되는 상황을 의미한다(예: 성서 히브리어에서 mamlākāh와 malkût는 모두 "왕국" 또는 "통치"를 의미함). 지금까지 성서 히브리어의 언어 변이는 주로 오경의 문서가설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이 현상을 주로 다루는 분야는 바로 사회언어학이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언어 변이를 정의한 후, 과거의 언어학자들이 이를 중요하지 않고 임의적인 것으로 간주했던 방식과 현대 사회언어학자들이 이를 언어 이해의 근본적인 요소로 여기는 방식을 개괄한다. 언어 변이는 역사적(또는 연대적) 변이, 지역적 변이, 그리고 사회적 변이를 포함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의 언어 변이를 나타내는 성서 히브리어 사례들을 검토한다. 첫째, mamlākāh와 malkût("왕국", "통치")는 역사적 변이의 예로서, 히브리어 성경에서 이들의 선택은 연대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된다. 둘째, 두 관계사 ’ăšer와 še- 그리고 거의 동음이의어인 šibbolet과 sibbolet은 각각 지역적 변이를 보여준다. 첫 번째 쌍은 남부 유다 히브리어와 북부 이스라엘 히브리어의 대조를 보여준다. 두 번째 쌍은 길르앗 사람들과 에브라임 사람들 사이의 자음 목록 차이를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자신을 지칭할 때 성서 히브리어 화자는 1인칭 단수 대명사와 ‘abdĕkā/’ămātĕkā/šipḥātĕkā("당신의 종") 중에서 선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선택은 상황 및 화자와 청자의 사회적 지위와 같은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언어 변이를 연구함으로써, 우리는 성서 히브리어의 언어, 성서 저자들의 문학적 전략, 그리고 히브리어 성경의 세계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