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리앗의 휴머니멀(Humanimal) 신체: 사무엘상 17장에 나타난 남성성, 민족성, 그리고 동물 이미지

Goliath’s Humanimal Body: Masculinity, Ethnicity, and Animal Imagery in 1 Samuel 17

https://doi.org/10.1163/15685152-31050002

사무엘상 17장에서 골리앗은 동물 이미지를 통해 묘사되는데, 바다 괴물, 사자와 곰, 개, 그리고 청소부 동물의 먹잇감으로 그려진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미지들이 골리앗을 온전히 인간이 아닌 존재로 제시하며, 그의 남성성과 민족성을 구성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남성성은 확립된 후 훼손되고, 이방인은 침입한 뒤 추방된다'는 궤적을 따른다. 골리앗은 과잉 남성적(hypermasculine) 최상위 포식자로 소개된다. 혼돈의 저편에서 온 바다 괴물처럼, 그는 물고기 비늘 갑옷(17:5)이라는 외골격을 지니고 있다. 이후 다윗은 골리앗을 사자와 곰(17:34–37)에 비유하는데, 이들은 위협적인 이방 국가를 상징하는 제국의 상징물이다. 그러나 다윗은 그들의 수염을 붙잡아 그 남성성을 전복시키고 그들을 죽일 수 있다. 골리앗은 다윗이 자신을 쓰레기를 뒤지는 개(17:43)처럼 취급한다고 여기는데, 이는 속하지 않은 곳을 침범하는 불명예스러운 존재를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두 적수는 서로의 살점을 공중의 새와 들의 짐승에게 주겠다고 위협한다(17:44, 46). 이를 통해 그들 육체의 남성적 온전함은 청소부 동물에 의해 해체되고 사회로부터 추방된다.

In 1 Samuel 17, Goliath is described using animal imagery, depicted like a sea creature, a lion and bear, a dog, and scavengers’ prey. I argue that these images present Goliath as not fully human, and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his masculinity and ethnicity. This article traces the following trajectory: masculinity is established then undermined; the foreigner encroaches then is expelled. Goliath is introduced as a hypermasculine ultrapredator. Akin to a sea monster from the chaotic beyond, he has an exoskeleton of fish-scale armour (17:5). David then likens Goliath to lions and bears (17:34–37), imperial symbols for fearsome foreign nations. David, though, can grasp their beards (overturning their masculinity) and slay them. Goliath perceives David to be treating him like a scavenging dog (17:43)—a dishonorable creature encroaching where it does not belong. Consequently, the opponents threaten to give the other’s flesh to the birds and beasts (17:44, 46). Their bodies’ masculine wholeness is disarticulated by scavengers and expelled from society.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