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이 성전을 건축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구약 본문은 다양한 목소리를 들려준다(삼하 7:14; 왕하 5:3; 8:18; 대상 17:4-15; 22:8; 28:3, 대하 6:7-9; 8:8-9). 이 가운데 그가 피를 많이 흘린 자였다고 언급한 역대기 본문(대상 22:8; 28:3)은 성경의 독자들을 어리둥절 하게 한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다윗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루어 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역대기 저자의 표현이 부정적이라고 보는 선행연구에 의문을 제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윗이 성전을 건축하지 못한 이유를 역대기 본문을 넘어 구약 본문과 사상을 통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연 다윗이 ‘피를 많이 흘린’ 것이 문제가 되었는지를 구약의 피흘림(살인)과 관련된 본문들을 통해 분석한다. 또한 구약 전체에 흐르는 성전(聖戰) 사상을 통해 다윗의 전쟁을 고찰한다. 특히 사무엘서-열왕기서 본문(신명기적 관점)과 역대기 본문(역대기적 관점)에서 보여주는 다윗의 성전건축 계획의 실패를 분석한다. 신명기적 관점에 의하면, 다윗이 끊임없는 전쟁으로 인해 성전 건축에 여력이 없었음을 강조한다. 역대기적 관점에 의하면, 다윗이 많은 피를 흘리면서 솔로몬의 건축사업에 필요한 준비를 철저히 함으로써 일생동안 자신에게 주어진 시대적 사명을 잘 감당하였음을 강조한다. 즉, 다윗과 솔로몬은 성전 건축을 위해 역할분담을 한 것이다. 다윗은 성전 건축에 필요한 재정적, 군사적, 정치적인 부분을 준비하였고, 솔로몬은 이러한 준비를 바탕으로 건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윗이 피를 많이 흘렸고 그가 전쟁의 사람이었다고 기록한 것은 그를 정죄하려는 것이 아니었음을 밝힌다. 그가 여호와의 전쟁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에게 주어진 시대적 사명을 성실히 감당한 것은 높이 평가받아야 마땅하다.
The present paper is to research the reasons why David could not build a temple of Yahweh. The majority of scholars have said that it was because he poured too much blood in battles based on Chronicles 22 and 28. However, there is a scholarly debate whether the Chronicler, who typically prefers David, really supported this opposition. The present researcher maintains that the Chronicler uses the expression ‘shedding much blood’ to depict David as a man of war without pointing out his moral or ethical issues. To prove my argument, I will investigate passages having the expression ‘shedding blood’ and then discuss the concepts and thoughts of war (also known as ‘Holy War’) in the Old Testament. Then, I will introduce related passages to figure out some features of the two histories’ messages (Deuteronomistic perspective vs. Chronicler’s perspective). According to my research, there is no occurrence of the expression ‘shedding blood’ in the context of battle outside Chronicles. Yet, with regard to the battle in the Old Testament, the wars are Holy War, which was initiated and managed by Yahweh, not by human beings. In this view, David participated in Yahweh’s battles. It is noteworthy that even the Deuteronomistic perspective, which mentions David’s negative aspects without hesitation, does not deal with his failure of the temple building plan in a negative way. Rather, it was impossible for him to build a temple because he was engaged in Yahweh’s wars. Chronicles portrays David as a ‘man of war’. This expression is to compliment David who was faithful to Yahweh by participating the Holy War throughout his entire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