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탐색

공적으로 신학하기(Doing Theology Publicly): 헤르만 바빙크를 중심으로
세속 시대의 한국 교회를 위한 공공신학
칼뱅의 정치사상과 민주주의 ―관헌과 국민의 복종 및 저항권을 중심으로
관계적 인간에 대한 신학의 존재론적 이해와 실천성 고찰 ― 토마스 토렌스(Thomas Torrance)의 그리스도의 대리적 인성 개념(the Concept of the Vicarious Humanity of Christ)을 중심으로
돌봄의 시대에 칼뱅을 다시 생각하다 ― ‘적응’(Accommodation)의 언어를 중심으로
국민저항권에 대한 공공신학적 접근 ― 법률적 ․ 신학적 고찰
초기 그리스도론의 발전과 시편 2:6의 역할 – 사도행전 13:33을 중심으로
예수의 ‘아바’ 사용과 그의 하나님 아들 자의식에 관한 연구- 초기 고(高)기독론 형성에 미친 영향 -
선재(先在)적 메시아사상이 기독교 이전의 유대교 내에 존재했는가?
신약기독론의 이중언어적 기원 - 종교사학파들의 언어적 전제에 대한 비평
필리오케(Filioque) 논쟁의 교의적 문제들과 의의 ― ‘신앙과 직제 위원회’의 1981년 제안서와 로마가톨릭교회의 1995년 해설서를 중심으로
Status Quaestionis : 요한 크리소스톰과 철학-의학적 치료
국내 발간 영문 잡지를 통해서 본 서구인의 한국 종교 이해, 1890~1940
제국주의 침략과 아편밀수: 귀츨라프 선교의 그림자
해방 이전 한국 개신교 여성에 관한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을 연구한 초기 개신교 ‘선교사 겸 학자’들
한국 개신교계의 종교 개념 수용 과정
한국기독교의 태극기 인식과 그 흐름에 대한 소고
미국 남장로회 여성 선교사들의 선교와 삶 - 미국 남장로회 연례 선교회의록에 수록된 여성 선교사 추도문을 중심으로 -
서울지역 초기 장로교회의 형성과 특징 연구: 연동교회의 설립 과정과 교인층의 변화를 중심으로
호남 첫 목사 최중진(崔重珍, 1871-1932)의 다면적 생애와 활동
구한말 철원·김화 지역의 초기 기독교 형성과정
만주와 중국 관내 초기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의 역사와 특징 :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미국 남장로회 한국선교의 시작 재구성, 1891-1894년
군사 행동을 위한 준비: 유딧기 12장 7절에 나타난 유딧의 정결 목욕
리처드 후커와 존 녹스의 성경해석과 전례적 적용, 그리고 선교적 해석과 실천에의 함의
괴로워하시는 하나님과 선교, 그리고 칼뱅
네덜란드 선교사들의 복음 소통 두 접근법: 17세기 대만의 사례
인종차별과 종교적 불관용: 브라질 기독교의 식민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너희 아비는 마귀라’: 19세기 대만에서 가톨릭과 개신교 선교사들의 관계
흑해 지역에서의 선교와 인간 존엄—철학적 고찰
이 장소를 지키기: 관상적 비전과 생태적 삶의 그리스도인 증언—정교회적 관점
인간 존엄을 찾아서: 2023년 2월 6일 지진과 안타키아·하타이의 종교 간 관계에 미친 영향
요한의 표적들과 요 2:11의 가능한 해석학적 열쇠
공관복음에서 ἀφίημι의 다의성과 용서의 두 인지적 틀
오른손에 일곱 별을 붙들고 계신 예수
“우리의 πολίτευμα는 하늘에 있다”(빌 3:20)
요한복음의 ‘σημεῖον’ 개념
경쟁하는 인간 존엄의 비전들: 선교의 토대에 대하여
십자가형 관행
바울의 일곱 교회에 보낸 편지와 그 목회적 부록
데살로니가전서 4:13–18에 임박성 기대가 있는가?
욥의 인내(약 5:11b)
그녀의 몸이 치유되다
어긋난 계보와 그리스 신약 사본의 새로운 문헌 가계
절단은 축귀인가
시편 40편과 예레미야 31장의 ‘새 언약’?
‘십자가에서 내려옴’과 로마의 십자가형 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