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관복음에서의 그리스도와 창조

Christ and Creation in the Synoptic Gospels

https://doi.org/10.1177/0142064X241300470

'그리스도와 창조'라는 주제에 대한 대부분의 학문적 관심이 바울 서신과 요한복음 연구에 집중되어 왔다는 점에 주목하며, 본 논문은 공관복음 연구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져 온 한 요소를 다룬다. 성서적으로 말해 '창조'란 시간, 공간, 인물, 가치가 하나님의 주권 안에서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해석되는 관계적 범주라는 가정하에, 본 논문은 기독론적, 종말론적으로 해석된 창조가 여러 방식으로 복음서 저자들의 예수을 문학적, 신학적으로 형성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주된 결론은, 세상의 시작과 이스라엘 백성의 시작에 대한 이야기를 포함하는 창조가, 복음서 저자들에게 역사와 인간 존재의 의미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중요한 방식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 의미는 하나님의 아들의 삶, 죽음, 부활, 승천 안에서 하나님에 의해 주어진다. 이 계시는 혼돈과 죽음의 세력에 대한 궁극적인 승리이자, 구속된 사회성(redeemed sociality)의 시작으로 이해된다

Observing that most scholarly attention to the theme of Christ and creation has taken place in Pauline and Johannine studies, this essay addresses a relatively neglected factor in Synoptic studies. On the assumption that, scripturally speaking, ‘creation’ is a relational category in terms of which time, space, persons, and values are interpreted in relation to God in God’s sovereignty, the essay draws attention to the multiple ways creation, interpreted christologically and eschatologically, shapes the Evangelists’ portraits of Jesus both literarily and theologically. The main conclusion is that creation, including stories of the beginnings of the world and of the people of Israel, offers the Evangelists significant ways to speak about the meaning of history and human existence as given by God in the life, death, resurrection, and ascension of God’s Son. This revelation is understood as ultimate victory in the battle against the forces of chaos and death and as the inauguration of a redeemed sociality.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