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시록에 나타난 문법적 오류(Solecisms)의 청각적 효과

The Aural Impact of Solecisms in Revelation

https://doi.org/10.1163/15685365-12341672

학자들은 요한계시록 그리스어 본문에서 무려 232개에 달하는 문법적 오류(morpho-syntactical errors)를 발견했다. 이 책의 가장 큰 역설 중 하나는, 이처럼 불규칙한 그리스어 문법으로 표현된 놀라운 복잡성이다. 수많은 학자들이 요한계시록의 문법적 오류를 설명하려 시도했지만, 그 청각적 차원에 대해 탐구한 학자들은 극히 드물다. 이 책이 소아시아의 초기 교회들에게 소리 내어 읽히도록 만들어졌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불규칙한 문법이 최초 청자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탐구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 논문은 문법적 오류가 고대 세계에서 어떻게 인식되었는지, 그리고 낭독자들이 읽는 과정에서 실수를 했을 때 고대인들이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학문적 공백을 채우고자 한다. 이 논문은 고대 수사학 핸드북의 통찰을 활용하여 요한계시록의 불규칙한 문법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Scholars have proposed as many as 232 solecisms (morpho-syntactical errors) within the Greek of the Apocalypse. One of the great paradoxes of the book is its astonishing complexity expressed in such irregular Greek. While numerous scholars have sought to account for and explain the solecisms in Revelation, few have explored the aural dimension. Since the book was designed to be read aloud to early churches in Asia,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how irregular grammar would have affected the first hearers. This paper attempts to fill this lacuna by examining how solecisms were viewed in the ancient world and how ancients responded when lectors made mistakes in reading. This paper will then draw on the insights of ancient rhetorical handbooks to provide new insight into the irregular grammar of Revelation.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