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이들은 출애굽기 19장 3-6절이 하나님과 이스라엘 관계의 독특성(5ab절)과, 이스라엘이 나머지 세상에 대해 갖는 특별한 역할 및 책임(6절)을 제시한다고 본다. 이는 중요한 질문을 제기한다. 즉, 이스라엘을 선택하신 것이 하나님의 주된 우선순위였는가, 혹은 처음부터 온 세상을 구속하시려는 더 넓은 목적의 일부로서 이스라엘을 선택하신 것이 그분의 의도였는가? 본 논문은 히브리어 불변화사 ‘키’(כִּי)로 시작되는 5c절의 번역이 이 논의와 관련이 깊다고 주장한다. 구약 전체의 ‘키’(כִּי) 용법이라는 맥락 안에서, 본고는 출애굽기 19장 5c절의 ‘키’(כִּי) 절에 대한 주요 해석들, 즉 강조적, 인과적, 양보적, 설명적 해석을 논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인과적 이해를 지지하며, 이것이 구약의 선교 신학을 이해하는 데 어떤 함의를 갖는지 제시한다.
Many take Exodus 19:3-6 to set out the uniqueness of Israel’s relationship with God (v. 5ab) and the particular role and responsibility Israel has in relation to the rest of the world (v. 6). This raises an important question. Was choosing Israel God’s main priority, or was his intention, from the start, to redeem the whole world, with the choice of Israel part of that wider purpos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translation of the clause in verse 5c, introduced by the Hebrew particle יִּּכ (ki), is relevant to that discussion. In the context of the use of יִּּכ in the wider OT, it discusses the main interpretations of the יִּּכ clause in Exodus 19:5c – asseverative, causal, concessive, and explanatory. It concludes in favour of a causal understanding and points to the implications for an understanding of the mission theology of the 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