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017/S002868852200039X
2022년 루뱅에서 열린 신약학회(SNTS) 총회에서 회장 연설로 발표된 이 논문은, 바울이 (예루살렘 헌금의 기여자인) 마케도니아인 및 고린도인들과의 관계에서, 그리고 그리스도와의 관계에서 '나눔'과 '부(富)'를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탐구한다. 이 논문은 아르테미도로스의 꿈 해석에 근거하여, 고대에 '부'가 소유가 아닌 행위(performance)로 이해될 수 있었음을 설명한다. 즉, 사람은 소유하는 것에서가 아니라 (혹은 소유하는 것에서뿐만 아니라) 베푸는 것에서 부유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울은 가난 속에서도 헌금에 대한 아낌없는 헌신으로 '부유했던' 마케도니아인들의 인상적인 모습을 제시하는데, 이는 나눔의 존엄성을 획득함으로써 가난한 자의 꿈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고린도후서 8장 9절의 기독론적 진술 또한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하고 통합)할 수 있다. 즉,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의 부요함(자기를 나누는) 안에서 가난하게(십자가의 약함 속에서) 되셨고, 이를 통해 이 운동에 참여하는 고린도인들이 그리스도와 동일한 자기 내어줌 안에서 '부유'하게 되도록 하셨다. 은혜와 돈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서로 관련 없는 '경제(economies)'인 것도 아니다. 그리스도 사건의 은혜는 그 수혜자들을 물질적 선물을 포함한 여러 형태의 관대함으로 풍요로운 주는 자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이 본문은 물질적 영역에서 작동하는 비경쟁적 사회 관계의 원리를 보여주며, 이는 비인간적인 형태의 자본주의에 신학적 도전을 제기할 잠재력을 가진다.
This article, originally presented as the Presidential Address at the 2022 SNTS Meeting in Leuven, explores the ways in which Paul configures giving and ‘wealth’, both in relation to the Macedonians and Corinthians (as contributors to the Jerusalem collection) and in relation to Christ. Drawing on the dream-interpretations of Artemidorus, it illustrates how ‘wealth’ could be understood in antiquity as performance rather than possession: one is wealthy in giving and not (or not only) in having. In this light, Paul offers a striking image of the Macedonians who in their poverty were ‘rich’ in their unreserved commitment to the collection, fulfilling the dream of the poor by acquiring the dignity of giving. The Christological statement of 2 Cor 8.9 can also be understood (and integrated) in a new way: it was in his wealth (of self-sharing) that Christ became poor (in the weakness of the cross), so that the Corinthians, participating in this momentum, might become ‘rich’ in the same self-giving of Christ. Although grace and money are not identical, neither are they unrelated ‘economies’: the grace of the Christ-event transforms its beneficiaries into givers, rich in multiple forms of generosity, including material gift. The text thus evidences principles of a non-competitive mode of social relations operative in the material sphere, with the capacity to stimulate a theological challenge to dehumanising forms of capit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