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017/S0028688524000055
유세비우스의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 3.25장에 나오는, 많은 논의를 낳은 ‘공인된(acknowledged)’, ‘논란이 있는(disputed)’, ‘위조된(spurious)’ 저작 목록은 신약 정경 형성사에서 핵심적인 구절이지만, 종종 문학적 맥락에서 분리되어 오해를 받곤 한다. 사실 이 구절은 유세비우스가 《교회사》 2.1–3.24장에서 사도행전을 보충하기 위해 쓴 사도들의 전기에서 이미 내린 결론들을 요약한 것이다. 야고보, 베드로, 바울, 요한과 같은 사도들의 생애 마지막을 다루는 전기적 구절들에는 그들이 저술했거나 권위를 부여한 문헌, 또는 거짓으로 그들의 저작으로 돌려진 문헌에 대한 진술이 함께 제시된다. 권위 있는 인물들의 진정한 저작을 위경(僞經)적 저작과 구분하기 위해 이러한 전기적 맥락을 활용하는 방식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Diogenes Laertius)의 《철학자들의 생애》에서 예증되듯 그리스-로마 문학 문화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따라서 신약 정경 형성에 대한 유세비우스의 결정적인 기여는 전적으로 기독교만의 관심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후기 고대(Late Antiquity)의 더 넓은 문학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이다.
Eusebius’ much-discussed catalogue of ‘acknowledged’, ‘disputed’ and ‘spurious’ works (Historia Ecclesiastica 3.25) is a key passage in the history of New Testament canon formation, but it is often extracted from its literary context and consequently misunderstood. This passage is in fact a summary of conclusions that Eusebius has already reached in the contributions to apostolic biography with which he supplements the Book of Acts in HE 2.1–3.24. Biographical passages relating the conclusion of the apostolic lives of James, Peter, Paul and John are accompanied by statements about the texts they authored or authorised, or that have been falsely attributed to them. This biographical context for differentiating genuine works of prestigious figures from their pseudepigraphal counterparts has its roots in Greco-Roman literary culture, as exemplified in the Lives of the Philosophers of Diogenes Laertius. Eusebius’ crucial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the New Testament canon is thus rooted not in exclusively Christian concerns but in the wider literary culture of Late Antiqu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