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163/15685365-12341694
이 논문은 바울이 갈라디아서를 '아이러니한 서신'의 서간 관례에 따라 작성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먼저, 저자는 비문학 파피루스에 나타난 'θαυµάζω + 접속사'라는 "서간 형식"이 아이러니와 갈라디아서 1장 6절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탐구한다. 그런 다음, 갈라디아서 1장 6절 자체를 아이러니하게 읽을 수 있는 증거들을 검토한 후, 현존하는 고대 서신 작성 핸드북으로 넘어가 갈라디아서 1장 6절이 핸드북에 나오는 아이러니한 서신들과 어느 정도 의미 있게 유사한지 평가한다. 저자는 갈라디아서 1장 6절을 아이러니하게 읽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지라도, 바울이 '아이러니한 서신'을 위한 서간 관례에 따라 갈라디아서를 작성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queries whether Paul wrote Galatians with reference to epistolary conventions for ironic letters. First, the author explores the use of the θαυµάζω + conjunction “epistolary formula” in the non-literary papyri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expression, irony, and Gal 1:6. Then, he weighs the evidence for an ironic reading of Gal 1:6 itself before turning to the extant ancient letter writing handbooks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Gal 1:6 meaningfully parallels the ironic letters in the handbooks. The author argues that while an ironic reading of Gal 1:6 is plausible, there is no evidence that Paul has crafted Galatians with reference to epistolary conventions for ironic le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