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017/S0028688523000255
바울, 실루아노, 디모데가 데살로니가를 떠난 후, 그 도시의 신생 그리스도 그룹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관계 망 안에서 죽음을 경험했다. 데살로니가전서 4장 13-18절에 나타난 저자들의 언급이 그리스도 그룹 내부의 당혹감만을 다루는 것인지, 아니면 최근의 죽음들이 도시의 더 넓은 담론에도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이 문제를 다루면서, 저자는 특히 리처드 애스코프(Richard Ascough)가 제기한 견해, 즉 데살로니가 그리스도 그룹이 하나의 시민 조합(civic association)에서 기원했다는 관점을 채택한다. 그러나 애스코프와는 대조적으로, 필자는 그 조합이 새로운 신으로 완전히 '개종'한 것이 아니라고 제안한다. 대신, 일부 구성원들이 분리되어 나와 그리스도를 따르는 새로운 모임을 형성하면서 구성원의 분열을 경험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열된 조합(ruptured association)' 시나리오는 데살로니가전서의 저자가 4장 13-18절에서 다루고 있던 문제에 대해 애스코프의 설명과는 다른 설명을 제공한다. 이 주장은 그리스-로마 시대 조합들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비교 자료(comparanda)에 근거하며, 본문의 주된 강조점과 더 긴밀하게 부합하는 해석을 제시다.
After Paul, Silvanus and Timothy left Thessalonica, members of the fledgling Christ group in that city experienced death within their social network. Opinions differ as to whether the authors’ comments in 1 Thess 4.13–18 are addressing puzzlement internal to the Christ group alone, or whether these recent deaths also played into the wider discourse of the city. In addressing this issue, I adopt the view, propounded especially by Richard Ascough, that the Thessalonian Christ group had its origins in a civic association. In contrast to Ascough, I propose that the association did not undergo a complete ‘conversion’ to a new deity; instead, it experienced a rupture in its membership, with some members splitting off to form a new assembly of Christ-devotion. This ‘ruptured association’ scenario offers a different explanation than Ascough's regarding the issue the authors of 1 Thess were addressing in 4.13–18. The argument draws upon comparanda from the database of Greco-Roman associations and offers an interpretation in closer alignment with the primary emphasis of the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