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163/15685365-12341691
창조 당시 또는 그 이전에 하나님과 함께 존재했던 '지혜'에 대한 개념은 유대 지혜 문학 전통에서 잘 입증되어 있다. 요한복음 프롤로그의 로고스(말씀)가 이러한 전통 속의 소피아(지혜)와 상응한다는 점이 널리 인식되면서, 거의 모든 영어 번역본들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있었다"(and the word was with God)라고 해석하는 것이 당연시되어 왔다. 이 논문은 중기 플라톤주의와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에 나타난 신적 중재자(divine intermediary)의 역할을 비교 분석하여, "그리고 말씀은 하나님께 향했다"(and the Word was Godward)라는 해석을 위한 새로운 주장과 개념적 틀을 제공함으로써 다수 견해에 반론을 제기한다.
The presence of wisdom “with” God at or before creation is well attested in Jewish sapiential traditions. Given the widespread recognition that the logos of John’s prologue corresponds with sophia in such traditions, it has become natural to read John 1:1b as virtually all English translations do—that is, as “and the word was with Go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ole of divine intermediary figures in Middle-Platonism and Philo of Alexandria, this article argues against the majority interpretation by providing new arguments and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reading, “and the Word was Godw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