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54
형상적 읽기가 성경의 신학적 해석 접근 방식으로 재부상하고 있다. 그 결과, 성경 학자들은 한때 유형론에 대해 이야기했던 것을 이제는 형상적 읽기라고 말하기 시작한다. 유형론은 성경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적인 문제였으며, 그에 대한 확고한 정의는 그들을 피해 왔다. 바로 그러한 이유로, 학자들은 유형론을 너무 성급하게 버려서는 안 된다. 먼저 유형론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 그리고 유형론적 논쟁이 현재의 형상적 읽기에 대한 논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유형론 (types 연구)의 정의에 대한 논쟁은 본질적으로 type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다. 이 논문은 type을 넓게 이코닉 미메시스(ikonic mimēsis)로 정의하는데, 이는 인물, 사건, 제도 등 사이의 사실과 중요성 모두에서 상응함을 의미한다. 이 광범위한 정의 내에서 (최소한) 세 가지 하위 범주, 각각 고유한 특성을 가진 하위 범주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스도론적 유형, 윤리적 유형, 그리고 유추적 유형. type을 넓게 이코닉 미메시스로 정의하고 세 가지 하위 범주를 제시함으로써, 이 논문은 유형론과 형상적 읽기와의 관계에 대한 더욱 투명한 논의를 가능하게 하는 범주를 확립한다.
Figural reading is reemerging as an approach to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As a result, biblical scholars are beginning to speak of figural reading where they once talked about typology. Typology has been a contentious matter among biblical scholars, and a firm definition of it has eluded them. For that very reason, scholars would be remiss to discard typology too quickly, before determining how to define it in the first place and how the typological debates might inform current discussions of figural reading. The debates concerning the definition of typology (a study of types) are essentially debates concerning how to define a type. This article defines a type broadly as ikonic mimēsis, which denotes a correspondence in both fact and significance between persons, events, institutions, and so on. Within this broad definition, (at least) three subcategories, each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can be identified: Christological, tropological, and analogical types. By defining types broadly as ikonic mimēsis and by delineating three subcategories of types, this article establishes categories that will allow for a more transparent discussion concerning typ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figural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