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의 신학 — 마태복음 18:15-35절에 나타난 테오시스

A Theology of Forgiveness: Theosis in Matthew 18:15–35

https://doi.org/10.5325/jtheointe.16.1.0040

예수의 교회 징계에 대한 논의(마 18:15–35)는 신화(theosis)의 한 예를 보여준다. 신약학자들 사이에서 신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마태복음 내 신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더욱이 마태복음에서 신화를 인식하는 학자들조차 하나님과 인간이 어떻게 연합하는지에 주목하지 않는다. 본고는 이러한 공백을 메우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예수의 교회 징계에 나타난 용서에 대한 신학적 주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체현된 삶의 방식으로서의 용서가 신화, 즉 하나님의 생명에 대한 우리의 변혁적 참여에 대한 해석학적 열쇠임을 입증하고자 한다. 체현된 삶의 방식으로서의 용서는 기도와 회개와 같은 특정 실천들의 함양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기도와 회개의 실천들을 통해 용서를 체현하는 것이 사랑과 자비를 원하시는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본성과 뜻에 참여하는 것임을 보여준다(마 7:21; 12:50; 18:19, 35).

Jesus’s discussion of the discipline of the church (Matt 18:15–35) shows an example of theosis. While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osis among NT scholars, little work has been done on theosis in Matthew’s Gospel. Moreover, scholars who do recognize theosis in Matthew’s Gospel do not attend to how God and the human are united. This article seeks to fill the lacu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theological exegesis of forgiveness in Jesus’s church discipline. I aim to demonstrate that forgiveness as an embodied way of life is a hermeneutical key to theosis, namely, our transformative participation in God’s life. Forgiveness as an embodied way of life requires the cultivation of particular practices, such as prayer and repentance. This study shows that embodying forgiveness through the practices of prayer and repentance is to take part in the nature and will of the Father in heaven who desires love and mercy (7:21; 12:50; 18:19, 35).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