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요한계시록 기독론의 주요 해석학적 요소를 탐구하며, 부활하신 예수님의 신비로운 묘사가 70인역(LXX) 다니엘서의 메시야 사상에서 기원함을 밝힌다. 예수님은 메시아, 곧 인자로 처음 지칭된 후, 하늘 보좌에 앉으신 분과 하나 되는 과정을 거친다. 기독론의 기원 연구에서, 기독교 묵시록 학자들은 요한의 그리스도가 다니엘의 인자를 연상시킨다는 점을 오랫동안 인식해 왔다. 본 논문은 더 나아가, 요한계시록의 그리스도가 70인역 다니엘 7장에 나타나는 또 다른 메시야적 호칭인 '옛적부터 항상 계신 이'(Ancient of Days)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70인역 다니엘서는 요한계시록 배후 기독교 집단의 경전 해석에 있어 근본적인 자료였다. 이 집단이 70인역 다니엘서를 적극적으로 암시하고, 차용하며, 정교화했음을 고려할 때, 이들의 묵시적 기독론은 70인역 다니엘 7장과 4장에 나타난 유대 메시야의 묵시적 묘사 방식과 변형 모티프에서 비롯된다. 요한과 그의 독자들이 상상하는 그리스도는 '옛적부터 항상 계신 이'이자 '인자'로서 유대적 방식으로 계시된 메시아적 구원자이다. 요한계시록에서 그리스도가 하늘 보좌실을 수평적으로 이동하고 종말론적 전투를 위해 수직적으로 이동할 때, 70인역 다니엘의 메시아에 대한 두 가지 이미지가 인식된다. 예수님이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과 하나 되는 순간은 새 예루살렘의 강림으로 봉인되는 신성한 종말론적 시나리오의 정점을 이룬다.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보좌 안에 좌정하며 새 예루살렘에서 하나님과 공존한다. 요한 공동체의 그리스도상은 유대교의 유일신 사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공동체가 이룩한 기독론은 70인역 다니엘 7장에 나타난 메시아에 대한 초기 기독교 이전 개념과 일치한다. 요한계시록과 70인역 다니엘서 사이의 개념적 연관성은 요한계시록 기독론의 두 가지 주요 요소를 식별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유대 메시아 사상(70인역 다니엘 7장)과 70인역 다니엘서의 변형 모티프(70인역 다니엘 4장)이다. 70인역 다니엘서의 관련 본문에 대한 주석적 분석은 요한이 예언적 환상가이자 물려받은 환상 전통에 대한 능숙한 해석자였음을 보여준다. 요한계시록의 저자는 느부갓네살 왕과 주권자 하나님이 성도들의 대적과 예수 그리스도를 어떻게 예표하는지를 포착하고 분명히 표현할 수 있었다. 70인역 다니엘서의 유대 메시아 사상은 예수님에 대한 유일신적 예배를 바탕으로 정체성을 확립한 기독교 묵시적 집단에 영향을 미쳤다.
The Christology of the Apocalypse of John and the Messianism in the Old Greek Daniel Daewoong Kim (Chongshin University) This essay is concerned with the major hermeneutic factors of the Christology in Revelation, where mysterious characterization of the resurrected Jesus flows from the Messianism in LXX Daniel. Jesus is first identified as the Messiah, the Son of Man, and then goes through a process of unification with the One who is seated on the throne in the celestial hall. In search of the Christological origin, scholars of the Christian Apocalypse have long recognized that the Christ of John evokes the Danielic Son of Man. This essay takes one step further by proposing that the Christ in Revelation represents the Ancient of Days, another Messianic epithet of the Son of Man in LXX Daniel 7. The Old Greek Daniel was the foundational source of the scriptural interpretation of the Christian group behind Revelation. The apocalyptic Christology of the Christian group, given the group’s active engagement in allusion to, appropriation of, and elaboration on LXX Daniel, flows from the apocalyptic mode of the portrayal of the Jewish Messiah and motif of transformation in the LXX Daniel 7 and 4. The Christ whom John and his intended audiences/readers envision is the Messianic Savior who is revealed in the Jewish manners both as “the Ancient of Days” and as a “Son of Man.” The two images of the LXX Danielic Messiah is perceived in Revelation when the Christ who horizontally moves in the celestial throne-room and vertically moves to the eschatological combat. The moment when Jesus is unified with the enthroned God functions as the apex of the divine eschatological scenario that is sealed up with the descent of the New Jerusalem. The Christ is enthroned within God’s throne and coexists with God in the New Jerusalem. The Christ of John’s community appears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Jewish monotheism. The Christology attained by the community is congruent with a pre-Christian concept of the Messiah in LXX Daniel 7. The conceptual kinship between Revelation and LXX Daniel is especially helpful to identify two major factors of the Christology in Revelation: the Jewish Messianism (LXX Daniel 7) and the motif of transformation in LXX Daniel (LXX Daniel 4). The exegetical analysis of the relevant texts of LXX Daniel demonstrates that John is both a prophetic visionary and a skillful interpreter of the inherited visionary tradition. The apocalyptist in Revelation could capture and articulate how King Nebuchadnezzar and the Sovereign Lord prefigure the arch enemy of the saints and Jesus Christ. The Jewish messianism in LXX Daniel have affected the Christian apocalyptic group that forged its sense of identity based on its monotheistic worship of Jes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