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163/15685365-12341504
그리스어 σημεῖον은 요한복음에서 핵심 용어로, 그 책에서 특유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 용어의 문서성 자료(documentary texts) 속 용례는 개인의 신상 묘사에 쓰이는 “식별 표지(distinguishing mark)”를 포함한다. 이런 의미에서 σημεῖον은 비유대인의 할례를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상적 사용에서 이 용어의 1차적 의미는 “표징(sign)”이 아니라 “표식(mark)”이다. 이런 관찰에서 도출되는 결론은, 요한복음에서도 σημεῖον을 “표징(sign)”으로 번역할 경우 그 의미가 오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핵심 가설의 한 부분은 σημεῖον의 의미론적 내용이 히브리어 אוֹת의 의미와도 가깝다는 점이다.
The Greek term σημεῖον is a central term in the Gospel of John where it is used in a characteristic way. It seems that the use of this term in documentary texts might shed light upon its meaning. The sense in the documentary texts comprises “distinguishing mark” to be used in the personal description of an individual. In this sense it can also be used for the circumcision of a non-Jewish person. Thus, the everyday use of the term first and foremost is “mark” and not “sign.” The conclusion of this observation is that the meaning of the term σημεῖον might be misconceived also in the Gospel of John in case that it is translated as “sign.” Part of the central hypothesis is that the semantic content of σημεῖον is also close to the semantics of the Hebrew term אוֹ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