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은 예수께 *'이스라엘의 왕'이라는 칭호를 두 번 부여한다(요 1:49; 12:13). 이 두 용례는 모두 요한복음에만 고유하게 나타나며, 전체 서사의 핵심적인 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이스라엘의 왕'은 이스라엘의 성경(구약)에서 사울, 다윗, 솔로몬 및 북왕국의 왕들을 지칭하며 흔히 사용되는 칭호이다. 하지만 오직 두 곳, 즉 이사야 44장 6절과 스바냐 3장 15절에서만 야훼(YHWH)를 이스라엘의 참된 왕으로 지목한다. 본 논문은 요한복음 1장 49절과 12장 13절에서 예수를 '이스라엘의 왕'으로 언급한 것이 바로 이 두 구약 본문을 암시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곧 요한복음의 이 칭호가, 예수를 지상에서 야훼의 왕권을 유일하게 대표하는 분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The Gospel of John attributes the title ‘King of Israel’ to Jesus twice (John 1:49; 12:13). Both occurrences are unique to John’s Gospel and are placed at key points in the overall narrative. Although ‘King of Israel’ is a commonly used title in Israel’s Scriptures, designating Saul, David, Solomon, and kings of the Northern Kingdom, only twice does it identify YHWH as the true King of Israel, namely in Isaiah 44:6 and Zephaniah 3:15.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references to Jesus as ‘King of Israel’ in John 1:49 and 12:13 allude to precisely these two texts, implying that this Johannine designation portrays Jesus as uniquely representing YHWH’s kingship on ea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