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8.2.0191
이 논문은 욥기 38-41장에 대한 요한 크리소스톰의 위로적 해석을 다룬다. 이는 회오리바람 연설에 대한 영향력 있는 현대적 해석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교부적 주석에 대한 연구로서, 이 논문은 요한의 접근 방식이 고통 속에서 위로를 얻기 위해 독자를 길들여지지 않은 자연의 관조로 이끌려는 열망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고 주장한다. 영향력 있는 학계의 견해에 따르면, 회오리바람 연설은 욥의 염려를 다루기보다는 단순히 그를 위협하고 경시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나님은 욥과 인류가 자신의 위치를 깨닫게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요한 크리소스톰은 회오리바람 연설을 욥의 인간성을 격하시키거나 신성한 섭리에 대한 그의 끈질긴 질문을 묵살하는 것으로 읽지 않는다. 오히려 그 연설들은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특별한 보살핌에 대한 하물며의 논증을 포함하며, 고통 속의 욥에게 위로를 제공한다. 이 논문은 네 단계로 진행된다. 첫째, 섭리에 대한 지식의 원천으로서 자연을 관조하는 요한의 접근 방식을 자세히 설명한다. 둘째, 인류에 대한 신성한 사랑인 필란트로피아(philanthrōpia)에 뿌리내린 섭리 개념을 논한다. 셋째, 욥기 38-41장에 나타난 길들여지지 않은 자연의 관조가 필란트로피아를 발견하는 길로서 어떻게 기능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요한이 욥을 독자를 그들 자신의 위로 발견으로 이끄는 모범적인 교사로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이 논문은 요한의 논증이 욥기 그리스어 버전에 대한 그의 독해에, 특히 히브리어 버전과 현저하게 다른 부분에서, 어떻게 기반하고 있는지를 입증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John Chrysostom’s interpretation of Job 38–41 as consolatory, which stands in stark contrast with an influential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whirlwind speeches. As an investigation into patristic exegesis, it argues that John’s approach is motivated by a desire to guide the reader to the contemplation of untamed nature for the purpose of consolation amid suffering. According to an influential scholarly view, the whirlwind speeches do not so much address Job’s concerns as they seem simply to intimidate and belittle him. God puts Job, and humanity, in their place. By contrast, John Chrysostom reads the whirlwind speeches not as a demotion of Job’s humanity and a dismissal of his persistent inquiries into divine providence. Rather, the speeches comprise an a fortiori argument for God’s special care for human beings, offering consolation to Job in the midst of suffering. This article proceeds in four stages. First, it unpacks John’s approach to contemplation of nature as a source for knowledge of providence. Second, it discusses his idea of providence as rooted in philanthrōpia, divine love for humanity. Third, it shows how the contemplation of untamed nature in Job 38–41 can function as a path to discovery of philanthrōpia. Finally, it shows how John constructs Job as an exemplary teacher who leads the reader to their own discovery of consolation. Throughout, it demonstrates how John’s arguments are grounded in his reading of the Greek version of Job, notably in places where it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e Hebrew.